이런 일이 벌어진 것은 민주당이 국회가 선출하는 3명의 헌법재판관 중 2명을 추천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헌법은 재판관 9명 중 3명은 대통령이 임명하고, 3명은 대법원장이 지명하는 한편 나머지 3명은 국회가 선출토록 하고 있다. 국회 몫 3인은 통상 여야가 1명씩 추천하고 나머지 1명은 여야 합의로 선출하는 게 관례였는데 이번에는 민주당이 국회 의석수를 앞세워 2명 추천을 관철시키겠다며 고집하고 있는 중이다.
문제는 헌재 마비가 국정에 상당한 차질을 안길 수 있다는 점이다. 국회가 탄핵을 의결한 공직자는 직무가 정지되는데 탄핵 여부를 최종 심판할 헌재의 기능이 마비되면 해당 공직자는 계속 업무 복귀를 할 수 없다. 해당 기관도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없다. 실제 민주당 주도로 국회에서 탄핵 소추된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과 손준성 검사장이 현재 이런 상태다. 이런 상태가 장기화하면 민주당이 사실상 공직자 해임권을 갖는 꼴이 된다. 심지어 요즘 정치권에서 심심치 않게 흘러나오는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마저 현실화될 경우 헌정 마비 사태가 오지 말란 법도 없다.
여야가 재판관 선출방식에 합의한다 해도 인사청문회와 국회 동의 등을 거치는 시간을 감안하면 현 상태에선 헌재 마비가 불가피하다. 일각에서는 “거대 야당이 의도적 헌재 무력화를 통해 야당 단독의 탄핵 절차 완성을 노리고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입법부에 이어 행정, 사법부까지 쥐고 흔들려 한다는 지적을 피하려면 민주당은 후임 재판관 선출에 적극 협조해 헌재 공백 사태를 최소화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그래야 거대 야당이 삼권분립을 훼손하고 정략적으로 국가 전체를 마비시키려 한다는 오명도 벗을 수 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