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1 (월)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메타 AI 부사장 “메타 LLM, 파생 모델 6만개…AI 커뮤니티서 큰 영향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타 10일 한국 오피스서 AI 설명 간담회

메타의 AI 모델 ‘라마’, 다운로드 4억회 이상

KISTI에 적용된 국내 활용 사례도 소개돼

헤럴드경제

10일 서울 강남구 메타 한국 오피스에서 진행된 메타의 AI 미디어 브리핑에서 마노하 팔루리 메타 생성형 AI 부사장이 라마의 성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영기 기자/20ki@]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이영기 기자] “라마(Llama) 모델은 교육, 헬스케어 분야 등 스타트업부터 대기업 등에서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파생된 인공지능(AI) 모델만 6만5000개 이상입니다”

마노하 팔루리 메타 생성형 AI 부사장은 10일 서울 강남구 메타 한국 오피스에서 열린 ‘메타의 AI 미디어 브리핑’에서 메타의 오픈소스 대규모 언어모델(LLM) 라마의 성과에 대해 이같이 소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메타 페어 연구팀, 장광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선임연구원 등도 발표자로 나서 라마 국내 활용 사례, 메타 인공지능 연구소 페어(FAIR)의 최신 연구 내용도 공유했다.

먼저 팔루리 부사장은 “메타는 최근 발표한 Llama 3.2 모델을 포함해 총 4번의 성공적인 배포를 마쳤다”며 “라마는 AI 커뮤니티 내에서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구체적으로 현재까지 라마 모델은 4억회 이상 다운로드됐다”며 “이는 작년 대비 10배 증가한 수치”라고 덧붙였다.

오픈소스 접근 방식인 라마의 목표도 밝혔다. 팔루리 부사장은 “메타의 장기적인 목표는 범용 인공지능(AGI)을 구축하고 이를 책임감 있게 오픈 소스로 공개해 모든 사람이 AI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헤럴드경제

메타 로고. [메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어 국내에서 라마를 기반으로 대형언어모델을 구축한 사례도 소개됐다. 장광선 KISTI 선임연구원은 KISTI의 과학기술정보 특화 대형언어모델인 고니(KISTI Open Natural Intelligence, KONI)를 구축한 사례를 소개했다.

장 선임연구원은 “고니는 라마 모델을 기반으로 과학기술 데이터를 추가 학습했다”며 “이를 통해 국내 연구기관과 공공기관에 특화된 과학기술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라마의 오픈소스 특성과 비교적 적은 자원으로 보안성이 높은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해 선택했다”고 덧붙였다.

향후 고니는 ScienceON과 AccessON 등 KISTI의 주요 서비스에 적용될 예정이다. 또 한전전력연구원과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등 타 공공기관에서도 활용될 계획이다.

이날 마지막 순서에서는 메타의 인공지능 연구소인 페어(FAIR) 연구소의 성과가 공유됐다. 니킬라 라비 연구원은 “지난 10년 동안 페어 연구팀이 개방적이고 책임감 있는 연구의 길잡이 역할을 자처하며, 연구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자 노력해왔다”고 설명했다. 메타에 따르면 페어 연구팀은 현재까지 1000개 이상의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 모델 및 데이터 세트 등을 공개적으로 배포했다.

이 밖에도 이미지와 영상 속에서 실시간으로 물체를 인식하는 모델인 SAM 2와 최대 100개의 언어를 음성과 텍스트 간 번역할 수 있는 심리스M4T(SeamlessM4T) 등이 소개됐다.

20ki@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