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상반기 실질 소매판매 2.4% 감소”
내수 위축 ‘2003년 카드대란’ 이후 최저
한국경영자총협회는 통계청의 ‘서비스업 동향 조사’ 데이터를 분석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최근 소매 판매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9일 공개했다.
![]() |
사진=한국경영자총협회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소매판매액지수(불변지수 기준) 증가율은 지난해 동기 대비 2.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매판매액지수는 개인·소비용 상품을 파는 2700개 기업의 판매액을 조사한 수치다. 불변지수는 물가 상승의 영향을 제거한 값으로, 경제 주체들의 실질적인 재화 소비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쓰인다. 이 지수 증가율이 음의 값이면 실질 소비의 양이 이전보다 감소했다는 뜻이다.
올해 상반기 불변지수 기준 소매판매액지수는 이른바 ‘카드 대란’으로 내수 소비가 크게 꺾였던 2003년(-2.4%)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불변지수 기준 소매판매액지수 증가율은 상반기 기준 2021년 5.5%에서 2022년 1.2%로 줄었다. 이어 2023년 -0.8%, 올해 -2.4%로 3년 연속 하락세다.
경총은 이를 근거로 2020년에 국내 실질 소비는 계속 둔화한 것으로 해석했다. 이 같은 원인으로 최근 수년간 누적된 세계적인 물가 상승 등의 영향을 꼽았다.
물가 상승세를 반영한 경상 지수 기준 올해 상반기 소매판매액지수도 2023년 동기 대비 0.3% 상승하는 데 머물렀다. 상반기 기준 전년 대비 소매판매액지수 증가율은 2021년 8.1%, 2022년 7.1%로 7∼8%대를 유지했지만, 물가 상승으로 인한 압박이 커지면서 지난해 2.2%로 급감한 데 이어 올해 더욱 축소됐다.
김범수 기자 sway@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