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태별로는 면세점(13.6%), 무점포 소매(7.7%)에서 크게 증가한 반면, 승용차 및 연료 소매점(-4.2%), 전문 소매점(-3.1%)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는 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최근 소매 판매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통계청이 매월 서비스업 동향조사를 실시해 발표하고 있는 소매 판매액 지수(경상지수)를 기준으로 분석한다.
올해 상반기(1~6월 누계) 소매 판매액(경상지수) 증가율은 작년 상반기 대비 0.3%에 그친 것으로 분석됐다. 상반기 기준으로 지난 2021년과 2022년에 각각 8.1%, 7.1%씩 늘던 소매 판매가 누적된 물가 상승으로 인해 2023년(2.2%)과 2024년(0.3%)에는 점차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매 판매의 실질적인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소매 판매액 불변지수는 올해 상반기 증가율이 –2.4%로 나타났다. 소매 판매액 불변지수는 가격 변동을 제거한 지표로 소매 판매의 실질적인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카드 대란이 있었던 2003년(-2.4%)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소매 판매액 불변지수 증가율이 음의 값인 것은 실질 소비의 양이 이전보다 감소했음을 의미한다. 보고서는 최근 몇 년간 누적된 전 세계적인 높은 물가 상승 같은 요인들로 인해 소비가 위축됐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했다.
명목 개념의 경상지수 기준 소매 판매액 증가율은 2022년 상반기까지 양호한 흐름(7.1%)을 보인 반면, 가격 변동을 제거한 실질 수준을 나타내는 소매 판매액 불변지수는 2022년 상반기부터 이미 증가세 둔화(1.2%)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보고서는 "불변지수는 2021년에도 5.5%의 비교적 양호한 증가율을 시현하긴 했으나, 이 역시 2020년 코로나 사태의 기저 효과와 당시 낮은 물가 수준(2.0%)을 감안하면 소비가 좋았다고 보기 어려워 실질적으로 2020년 전후부터 우리 실질 소비(소매 판매)는 계속 둔화 추세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올해 상반기 소매 판매액 지수 증가율은 기타 내구재(10.3%)와 가구(8.7%), 의약품(5.1%)이 높았고, 승용차(-8.1%)와 오락·취미·경기용품(-5.3%), 기타 준내구재(-3.6%)가 낮게 나타나 품목별로 차이를 보였다.
기타 내구재는 전기용품, 난방기기, 전동공구 등을, 기타 준내구재는 침구류, 철물·건축자재류, 주방용품 등을 의미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19년 상반기 대비 2024년 상반기 소매 판매액 지수 누적 증가율은 기타 비내구재(45.2%), 의약품(42.4%), 승용차(31.4%)가 높았고 신발 및 가방(1.2%), 통신기기 및 컴퓨터(2.6%), 가전제품(3.0%)은 낮았다.
화장품은 –9.5%로 나타나, 올해 상반기 소매 판매가 코로나 이전인 2019년 상반기보다도 부진한 것으로 분석됐다. 기타 비내구재는 담배, 신문, 화장지 등이다.
업태별로는 면세점(13.6%)에서 올해 상반기 소매 판매액 지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이는 최근 면세점 이용객 증가에 따른 영향이 일부 반영됐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인터넷 쇼핑 같은 무점포 소매(7.7%)와 대형마트(5.2%) 역시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승용차 및 연료 소매점(-4.2%), 전문 소매점(-3.1%), 슈퍼마켓 및 잡화점(-1.9%)은 작년 상반기보다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상반기 대비 2024년 상반기 업태별 소매 판매액 지수 누적 증가율은 무점포 소매(67.9%)를 비롯해 백화점(35.3%), 승용차 및 연료 소매점(30.0%)이 높게 나타났다. 면세점은 올해 상반기 매출 증가세(13.6%)가 높았지만, 5년 전과 비교하면 오히려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무점포 소매로 판매되는 품목을 살펴본 결과, 총 9개의 품목 중 음식료품을 비롯한 5개 품목(음식료품, 가구, 가전제품, 통신기기 및 컴퓨터, 의복)의 무점포 소매 판매 증가율이 다른 업태들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승용 경총 경제분석팀장은 "최근 호조세를 보이고 있는 수출과 달리 소비 같은 내수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우리 경제 회복을 제약하고 있어 우려스럽다"며 "내수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와 지원책들을 적극 추진하는 한편 장기간 높은 수준에서 유지된 기준금리의 인하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kimsh@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