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앱마켓인 원스토어에 경쟁업체의 출시를 막은 사건은 2016년 발생했지만 공정위는 2018년 조사에 착수해 제재는 2023년 7월에야 이뤄졌다. 지난 6월 공정위가 검찰에 고발한 쿠팡 알고리즘 조작 사건도 발생 5년, 현장조사 3년 만에 처분이 이뤄졌다. 조사기간이 길어지다 보니 그동안에도 플랫폼 기업의 시장 독점은 확대된다. 지난 2일 공정위는 차량 호출 1위 앱 ‘카카오T’를 운영하는 카카오모빌리티에 724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공정위가 조사에 착수한 시점은 2021년 9월이지만 이 회사의 시장점유율은 2019년 14%에서 2022년 79%로 뛰었다.
플랫폼 독과점은 혁신기업의 탄생을 가로막고, 서비스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 후생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대안은 이들 업체를 ‘시장 지배적 사업자’로 사전 지정해 독점 여부에 관한 판단과 제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다. 올 초만 해도 공정위는 ‘플랫폼 공정경쟁촉진법안’에 지배적 사업자를 사전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해당 업체들과 미국의 반발로 사후 규제로 후퇴했다. 시장지배적 기업의 기준도 점유율 50%에서 60%로 높이고, 60% 이상이라도 연 매출 4조원 미만이면 제외하기로 했다. 플랫폼과 입점 업체의 상생협의회를 활성화한다는 방침이지만 실효성이 의심스럽다. 그사이 쿠팡과 배달의민족 같은 대형 플랫폼은 수수료와 요금을 기습적으로 인상했고, 티몬·위메프는 입점업체 판매대금을 빼돌려 거래업체와 소비자에게 막대한 손해를 끼쳤다.
지난해 폐업한 자영업자가 90만명이 넘고, 소상공인 4명 중 3명은 한 달 소득이 100만원 미만이라고 한다. 정부는 자영업자와 소비자를 위해 실질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대형 플랫폼의 갑질을 신속하게 단속·제재하는 것이야말로 진짜 민생대책이다.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이 10월 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카카오모빌리티의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 행위 제재를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창간 기념 전시 ‘쓰레기 오비추어리’에 초대합니다!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