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콘솔·인디게임과 함께 'AI 게임' 지원 공식화
구체적 방안 나오지 않았으나 저작권 규범 작업 예상
'이용자 보호'와 '규제혁신'도 주요 정책으로 꼽아
7일 국회에 따르면 문체부는 지난달 말 국정감사를 앞두고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 제출한 업무현황보고서에 “콘솔·인디게임 및 AI 활용 게임을 집중적으로 지원해 미래 시장 선점을 돕겠다”고 강조했다. 콘솔과 인디게임 양성 계획은 지난 5월 발표한 ‘2024~2028 게임산업 진흥 종합계획’에 포함돼 있는 내용이었으나, AI 게임 개발 집중 지원을 공식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 제출한 업무현황보고서 내 게임 관련 계획(사진=문체부 업무현황보고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재 게임 업계에서 AI를 활용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다. 서비스를 만드는 과정에 AI를 적용해 개발 속도화 효율성을 높이거나, 게임 내 콘텐츠에 AI를 더해 새로운 재미를 주는 점이 대표적이다. 후자의 경우 AI 비플레이어 캐릭터(NPC)를 만들어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음성인식 AI를 통해 이용자가 말로 게임을 이용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개발 효율화를 위한 AI는 이미 많은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다. ‘스텔라 블레이드’로 글로벌 공략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 시프트업(462870)은 오픈AI 출신 개발자인 김태훈 AI랩 팀장을 영입했고, AI를 통해 효율적인 인력 구성을 가져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엔씨소프트(036570)는 지난해 국내 게임업계 최초로 대형언어모델(LLM) ‘바르코’를 자체 개발해 공개했고, 크래프톤(259960) 또한 AI 게임을 만드는 개발 자회사 ‘렐루게임즈’를 통해 여러 신작들을 내놓고 있다.
다만 AI 게임 개발을 지원을 위한 구체적 방안은 언급되지 않았다. 그러나 국정감사 업무현황 인사말에서 ‘AI 저작권 규범 마련’을 언급해 이와 관련된 작업을 우선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AI 시대에 적합한 저작권 규범 마련을 위해 AI 업계, 권리자, 학계, 법조계 등과 논의해 AI-저작권 제도개선 방안을 조속히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문체부는 ‘이용자 보호’와 ‘규제 혁신’을 게임 분야 주요 정책으로 꼽았다. 이어 이용자 보호 정책 성과로 지난 3월 시행된 확률형 아이템 정보공개 의무화, 경찰청과의 협업을 통한 게임사기 수사 전담 인력 지정, 공정위와 진행한 표준약관 개정 등을 내세웠다.
규제 혁신 계획으로는 게임물등급분류 권한을 단계적으로 민간에 이양하고, 올 12월까지 분류 기준을 개선해 이용자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언급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