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4 (금)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신용점수 950점도 은행 대출 어려워… 문턱 낮은 카드론 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그래픽=정서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용점수 950점도 은행에서 대출을 받기 어려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권이 최근 가계부채 급증세를 억제하기 위해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1금융권에서 밀려난 금융소비자는 금리는 높지만 문턱이 낮은 카드론·현금서비스 등을 찾고 있다.

4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일반신용대출(신규취급액 기준) 평균 취급 신용점수는 938점으로 나타났다. 전월(926점)과 비교하면 한 달 새 12점가량 높아졌다. 5대 시중은행 일반 신용대출 평균 취급 신용점수는 올해 초 923점을 기록한 이후 지난 8월까지 920점대를 기록하다 지난달 들어 930점을 넘어섰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국민은행이 960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우리은행 943점 ▲하나은행 934점 ▲농협은행 929점 ▲신한은행 925점 순이었다.

신용등급의 기준이 되는 신용평가사 KCB(코리아크레딧뷰로) 점수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1등급은 942~1000점, 2등급은 891~941점, 3등급은 832~890점, 4등급은 768~831점이다. 신용대출을 받을 수 있는 은행권 평균 신용점수가 938점이 되면서 3등급 소비자는 시중은행 대출을 받기 어려워졌으며 2등급 소비자 대다수도 대출을 못 받게 됐다.

이달 들어 고신용자 대출 문턱이 높아진 데는 최근 금융 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기조에 따라 은행권이 대출 심사 시 평균 신용점수를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권이 대출 규모를 줄이는 방법은 금리나 신용점수 기준을 높이는 것이 대표적이다. 금융 당국은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은행에 사실상 금리 인상 등 대출 문턱을 높이도록 압박하고 있다. 실제 7~8월 중 5대 시중은행은 22차례 주담대 금리를 올렸다. 은행권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를 인상한 데 이어 신용점수 제한을 통해 대출 문턱도 함께 높이고 있다.

조선비즈

서울 시내에 부착된 카드 대출 관련 광고물.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은행 대출 연체율 상승도 영향을 미쳤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은 0.47%로 전월 말(0.42%)보다 0.05%포인트 상승했다. 7월만 놓고 보면 2018년(0.56%) 이후 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가계대출 연체율도 전월 말(0.36%) 대비 0.02%포인트 상승한 0.38%를 기록했다. 주담대 연체율(0.25%)은 같은 기간 0.01%포인트,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 연체율은 0.76%로 0.05%포인트 상승했다.

신용점수 인플레이션에 따라 금융소비자의 1금융권 접근이 제한되다 보니 카드론·현금서비스 대출은 급증하고 있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카드 대출 규모는 44조6650억원으로 지난해 말(41조5530억원)보다 7.5% 늘면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카드 대출이 1조8940억원 늘었는데 올해는 8월까지 지난해 증가 폭의 1.6배 수준을 넘어선 것이다.

문제는 연체율도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8월 카드 대출 연체율(30일 이상 연체채권)은 3.1%로 나타났다. 카드 대출 연체율은 지난 2021년 1.9%, 지난 2022년 2.2%를 각각 기록했다가 지난 8월 처음 3%를 넘어섰다. 카드 대출은 신용카드를 가지고 있으면 별도 서류 제출이나 심사 없이 대출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시중은행에서 대출이 불가능한 금융소비자가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와 같은 소액 급전을 이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근 금융 당국이 은행 가계대출 증가를 예의주시하고 있는 만큼 가계대출 관리에 최우선을 다해야 하는 상황이다”라며 “대출 평균 취급점수 상향 역시 이에 대한 조처다”라고 말했다.

김수정 기자(revise@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