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터에 도입되고 있는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이 자신의 업무 능력을 위협할 것이라는 한국인의 우려 수준이 다른 나라보다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세정·신영규 부연구위원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0개국 시민을 설문조사한 결과를 분석한 ‘디지털 전환과 AI 기술에 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한 10개국 비교’ 보고서를 최근 공개했다. 한국은 AI 등 신기술 때문에 자신의 업무가 위협받을 수 있는 가능성에 매우 동의하거나 동의하는 비율이 35.4%에 달했다.
이는 이탈리아(39.1%)에 이어 2번째로 높은 수치다. 3위는 AI 종주국으로 꼽히는 미국(35.0%)이었다. 동의 비율이 가장 낮은 국가는 덴마크로 18.3%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업무와 관련해 본인의 디지털 기술 숙련도가 충분한가’를 묻는 항목에서 한국은 ‘매우 동의 또는 동의’ 답변이 56.9%로 폴란드(56.4%)와 함께 최하위 수준을 보였다. 숙련도에 대한 긍정적 답변이 가장 많은 국가는 영국과 노르웨이로 각각 71.9%와 70.2%였다. 일터에서 정기적으로 쓰는 기기·기술 항목을 보면 한국은 컴퓨터와 챗GPT 같은 생성형 AI 사용 비율이 각각 77.0%, 15.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진은 “한국 시민들의 평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이 문화적으로 서구에 견줘 본인의 역량에 대해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는 점과 ‘숙련’이라는 기준 자체가 높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대해 해석의 여지를 남겨둘 필요가 있다”고 했다.
언론과 정부, 학계, 시민사회 등이 어떤 경향을 보이는지에 따라 시민 인식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연구진은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기술 숙련에 대한 불안 또는 우려는 한국 사회의 성장을 이끌 동력으로 작동할 수 있다”면서도 “이로 인한 과도한 역량 제고 노력이나 경쟁은 자칫 사회적 비용이나 갈등 확대, 더 나아가 사회통합의 저하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했다. 향후 디지털 전환과 AI 기술에 대한 시민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선 이 같은 점을 고려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봤다.
보고서에서 한국은 노동자를 대체하는 새로운 기술 도입이 기업의 수익성을 높이는 경우 규제가 필요하지 않다거나 규제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32.9%로 10개국 중 가장 높았다. 10개국 모두에서 절반이 넘는 응답자가 생성형 AI 개발에 대해 독립적인 기관의 감시와 규제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노도현 기자 hyunee@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평균 92분, 14곳 ‘뺑뺑이’… 응급실 대란을 기록하다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