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9 (일)

[용산NOW]‘독대 재요청’ 용산 침묵 길어지는 이유는···“빠른 성사 중요한 것 아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 분수정원에서 열린 국민의힘 지도부 초청 만찬 뒤 한동훈 대표, 추경호 원내대표 등 국민의힘 지도부, 대통령실 참모진과 함께 산책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24일 윤석열 대통령과의 만찬 회동에 이어 다음 날 ‘독대’를 재차 요청했지만 대통령실의 침묵은 길어지고 있다. 한 대표가 요청한 독대의 ‘진정성’과 ‘실효성’을 따져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28일 통화에서 “독대 성사가 빨리 이뤄지는 게 중요한 것은 아니다”라며 “현안을 비롯한 여러 사안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대표의 독대 요청은 지난 21일 오후 9시쯤 언론 보도가 나간 이후 주목을 받았다. 당시 윤 대통령은 2박 4일의 체코 순방 일정을 마치고 지난 22일 오전 6시 서울공항에 도착하기 전이었다. 윤 대통령의 체코 순방 첫날인 20일(현지시각 19일)에는 한 대표가 “대통령실 생각이 민심과 동떨어져 있다”고 언급한 인터뷰 보도가 나왔다.

지난 24일 만찬 회동은 당일 오후 8시쯤 마무리됐는데 한 대표가 홍철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을 통해 독대를 ‘재요청’했다는 언론 보도가 1시간 30분가량 뒤 나오기도 했다. 대통령실 일각에서는 한 대표 측이 윤 대통령의 독대 수용을 압박하려고 일부러 언론에 흘린 것으로 의심하며 불편한 기색을 비치고 있다.

서울신문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분수정원에서 열린 국민의힘 지도부 초청 만찬을 마친 뒤 한동훈(앞줄 왼쪽) 대표, 추경호(오른쪽) 원내대표 등과 환담하며 산책하고 있다. 이날 오후 6시 30분에 시작된 만찬은 1시간 30분가량 이어졌다. 대통령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통령실이 선뜻 한 대표의 독대 요청을 수락하기 어려운 이유는 독대의 성과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독대가 성사되면 한 대표는 윤 대통령에게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을 위한 정부의 방침에 변화를 요구하는 등 현안에 대한 의견을 가감 없이 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의대 정원 증원’, ‘쌍특검법(김건희·채상병특검법) 정국’ 등 해법을 내지 못한 채 자칫 ‘빈손 독대’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대통령실 시각이다. 대통령실과 한 대표는 의대 정원 증원 사안에서는 한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여당이 제안한 여야의정 협의체는 의료계의 반발로 아직 첫발조차 떼지 못했다. 김건희 여사와 관련 사안에서도 한 대표는 명품백 수수 사건과 관련해 “분명한 건 부적절한 처신이었고 사과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한 대표의 독대 요청이 받아들여진다고 해도 (현안 해결과 관련해선) 크게 달라지는 건 없을 수 있다”고 짚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한 대표가 계속해서 보자고 요청할 게 아니라 대통령실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대안에 대한 논의를 충분히 하는 게 우선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신문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7월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 파인그라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신임 지도부 만찬에서 한동훈 대표(왼쪽)와 손을 맞잡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 대통령과 한 대표의 지난 만찬 회동에서도 이러한 이유 등으로 현안은 거론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상견례 성격의 만찬인 만큼 당정 화합 메시지와 윤 대통령의 체코 순방 성과와 관련한 대화가 오갔다. 한 대표는 만찬 다음 날 기자들을 만나 만찬의 성과가 “저녁 먹은 것”이라며 “소통의 과정이라고 길게 봐주면 어떨까 싶다. 일도양단으로 (성과가) 있다 없다 이렇게 말할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곽진웅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