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7 (금)

"돈벌어 이자도 못내는 좀비기업 비중 16%, 역대 최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자 제대로 못갚는 한계기업 비중 갈수록 증가

한계기업이 정상기업 성장까지 저해

지속적인 구조조정 필요하다는 지적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기업 중에서 벌어들인 돈으로 이자도 갚지 못하는 상태가 수년째 지속되는 한계기업(좀비기업) 비중이 1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기업이 증가하면서 정상기업의 성장을 저해하는 현상까지 나오고 있어 적극적인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국내 한계기업 비중 갈수록 높아져

26일 한국은행의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외부감사기업에서 한계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6.4%에 달했다. 2022년 15.5%를 뛰어넘는 역대 최대다.

한계기업은 영업이익을 이자 비용으로 나눈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을 하회해 채무상환 능력이 취약한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는 기업이다.

기업 규모별 한계기업 비중은 중소기업이 17.4%, 대기업은 12.5%였다. 업종별로 보면 숙박 음식(59.0%), 운수(49.2%), 전기·가스(46.1%), 부동산(43.8%) 업종에서 매우 높은 한계기업 비중을 보였다. 반면 항공(0.2%), 석유화학(4.1%), 전기·전자(11.3%) 등은 평균보다 낮았다.

한계기업들은 진입 2년 전부터 대부분의 재무가 크게 저하된 후 장기간 회복하지 못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계기업 진입 첫해에는 총자산 영업이익률과 유동비율이 정상기업 대비 각각 7.7%포인트, 62.4%포인트 낮았다. 한계기업 진입 이후에도 정상기업 대비 낮은 수준의 수익성과 유동성이 5년 이상 지속됐다.

한계기업은 한계기업 진입 2년 전 정상기업 대비 높은 차입금 증가율(+8.2%포인트)을 보였다. 이런 차입 확대와 수익성 저하가 맞물리고, 차입금의존도와 부채비율이 높아지면서 재무구조의 안정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계기업 금융권 안정성 낮추고 정상기업 성장도 저해

한계기업은 금융권의 안정성도 낮춘다. 한계기업에 대한 예금취급기관의 신용공여(대출 및 회사채) 규모를 보면 작년 말 기준 은행권이 125조3000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한 가운데 상호금융 13조1000억원, 저축은행이 3조9000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한계기업에 대한 신용공여는 대부분 은행권에 집중됐지만 2021년 이후 상호금융과 저축은행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에서 취급한 여신 중 한계기업 노출도가 증가하는 모습이다. 이에 따라 전체 한계기업 신용 공여액 중 비은행업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7.3%에서 작년에는 11.9%로 확대됐다.

작년 말 예금취급기관의 전체 기업 대출 대비 8.5%가 한계기업에 대한 여신으로 파악된다. 특히 취약 업종 가운데 부동산 한계기업에 대한 신용공여 중 상호금융과 저축은행 비중이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해당 업종의 부실 위험이 커질 우려도 제기됐다.

한계기업은 정상기업의 성장을 저해하기도 한다. 한계기업 비중(차입금 기준)이 높아질수록 정상기업의 성장성(매출액증가율), 수익성(총자산 영업이익률), 현금흐름(영업현금흐름)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 내 한계기업 비중이 10%포인트 상승할 경우 정상기업의 매출액증가율과 총자산 영업이익률은 2.04%포인트 및 0.51%포인트, 총자산 대비 영업현금흐름 비율은 0.26%포인트 하락했다.

정상기업에 대한 한계기업의 부정적인 외부효과는 주로 중소기업, 서비스업에서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은 제조업보다 시장진입 장벽이 낮아 경쟁력이 떨어지는 기업들의 진입이 용이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부문 내 한계기업이 많아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정상기업의 경영활동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제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담보 여력이 부족하다는 특징으로 인해 업종 내 한계기업 증가에 따른 정상기업에 대한 전반적인 차입이자율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은 관계자는 "한계기업이 금융지원 등을 통해 장기존속할 경우 정상기업의 성장을 저해하고 수익성을 악화시킬 수 있고, 정상기업의 원활한 투자 및 자금조달 활동도 제약할 수 있다"며 "최근 국내 한계기업의 증가는 기업 부문의 전반적인 신용리스크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채무상환 능력이 약해진 한계기업의 증가는 금융시스템의 잠재부실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며 "중장기적인 시계에서 한계기업에 대한 적기 구조조정과 함께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취약 업종의 구조개선 노력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