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5 (수)

한동훈 독대 재요청에 “보고 뒤 논의” 즉답 안 준 대통령실 속내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 분수정원에서 열린 국민의힘 지도부 초청 만찬 뒤 한동훈 대표, 추경호 원내대표 등 국민의힘 지도부, 대통령실 참모진과 함께 산책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통령실은 25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윤석열 대통령 독대 재요청에 “논의를 해야 할 일”이라고 말을 아꼈다.



한 대표의 거듭되는 공개적 독대 요청에 불쾌해 하는 기색을 보이며 즉답을 주지 않은 것이다.



한 대표는 “중요한 현안에 관해서 논의할 필요가 여전히 있지 않냐”며 독대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빈손 만찬’ 이후 대통령실과 한 대표 쪽 사이의 신경전이 격화되며 오히려 갈등이 커지는 양상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한 대표의 독대 재요청 수용 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통령에 보고가 되고 논의를 해야할 일”이라고만 말했다.



의-정 갈등 해법 마련 등 시급한 현안이 많은 만큼 독대 필요성에는 공감한다면서도, 전날 홍철호 정무수석을 통해 전한 독대 재요청이 아직 대통령에 보고되지 않았다며 말을 아낀 것이다.



대통령실의 이런 반응에는 ‘독대를 제안하는 한 대표의 방식을 이해할 수 없다’는 생각이 깔려 있다.



대통령실과 국민의힘 친윤석열계 쪽에서는 만찬 전 한 대표의 독대 요청 사실이 언론에 먼저 알려지면서 한바탕 논란이 됐는데도 한 대표가 굳이 만찬이 끝난 뒤 제3자(홍 수석)를 통해 만찬 재요청을 하고 또다시 이를 공개한 데 대해 상당한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어제 만찬은) 자유롭고 화기애애한 분위기였다”며 “자유롭게 발언을 할 수 있었고 할 말을 못할 분위기는 아니었다”고 말했다. 꼭 할 말이 있었다면 만찬 때 얘기를 하거나, 독대 재요청도 그 자리에서 대통령에게 직접 할 수 있지 않았느냐는 것이다.



친윤계 김재원 최고위원은 이날 문화방송(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한 대표가 굳이 공개적으로 독대 요청하는 것은 “(한 대표 본인은) 시중의 여론을 전달하려고 하는데 대통령이 귀를 닫고 있다는 비판을 받을 소지를 공개적으로 만들어 놓는 것”이라며 “(한 대표가) 어떻게든 상당히 어려운 국면으로 대통령을 자꾸 궁지에 몰아넣는 거라고 대통령실은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한 대표 쪽에선 여전히 “어제는 중요한 현안을 얘기할 자리가 아니었다”는 입장이다.



한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중요한 현안에 관해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며 “그(독대) 필요가 여전히 있지 않겠느냐”고 했다.



그는 ‘추경호 원내대표와 3자 회담을 고려하느냐’라는 질문에는 “지켜봐달라. 대통령과 중요한 문제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윤 대통령과 자신의 독대에 무게를 실었다.



친한계 쪽은 한 대표의 공개적 독대 요청을 비판하는 목소리에 대해 “대통령이 여당 대표를 만나는 게 무슨 시혜를 베푸는 것이냐”(김종혁 최고위원)며 불쾌하다는 반응을 보이며, 할 말은 해야겠다는 분위기다.



중요 현안에 대한 대통령실과 당의 판단이 크게 엇갈리고 있는 만큼, 당의 입장을 전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다만 친한계 쪽에선 독대를 통해 김건희 여사에 대한 부정적 민심을 전하겠다고 벼르고 있어, 독대가 쉽사리 성사될지는 미지수다.



장동혁 최고위원은 이날 에스비에스 (SBS )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 대표라면 당의 입장을 말씀드려야한다”며 “야당의 공격포인트는 김 여사에 집중되어 있으니, 적어도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에 대해서는 당대표로서 대통령과 허심탄회한 대화가 필요하지 않겠나”라고 했다.



장나래 기자 wing@hani.co.kr 손현수 기자 boysoo@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행운을 높이는 오늘의 운세, 타로, 메뉴 추천 [확인하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