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영부남” “몰염치한 캥거루”
말 싸움장 된 9∼12일 국회 대정부질문
비판·견제 대신 야단치고 망신주는 野
文 탓하며 尹 성과 치켜세우기 바쁜 與
지난 12일 한덕수 국무총리가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 출석,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는 지난 5일 22대 국회 첫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국민들로부터 자주 듣는 얘기”라면서 “우리 정치가 언제까지 이런 소리를 들어야 하느냐”고 했다. 그러면서 추 원내대표는 ‘국회의원 윤리실천법’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비난과 막말, 고성이 일상이 된 국회의 자정 노력을 강조한 것이다.
하지만 ‘많이 배우고 잘난’ 의원들의 막말은 이번 추석 연휴 전인 지난 9∼12일 나흘간 이어진 대정부질문에서도 반복됐다. 대정부질문의 본래 취지인 행정부에 대한 입법부의 견제는 찾기 힘들었고, 말싸움과 공방만 오가는 ‘아무말 대잔치’로 변질된 것이다.
정부를 상대로 국정 현안을 묻는 자리에서 야당 의원들은 날카로운 정책 질의 대신 비아냥과 인신공격으로 맞섰다. 더불어민주당 박지원 의원은 용산을 향해 “국민들은 김건희 대통령, 윤석열 영부남이라고 한다”, “정신 나간 대통령실”이라고 했고, 한덕수 국무총리에게는 “좋은 한덕수가 나쁜 한덕수가 됐다”, “쫄랑쫄랑 덤빈다”고 했다.
민주당 서영교 의원은 한 총리에게 “지난해 전 세계 경제성장지수는 2.6까지 가고 있었다. 우리나라 경제성장 몇까지 찍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총리는 “올해는 2.6%다. 작년 한 해 가지고 먹고 사냐”고 손가락질하며 대응했다. 이에 “좀 들어라”, “싸우러 나왔냐”고 여야 의원들이 소리를 지르며 장내가 아수라장이 되자 우원식 국회의장이 중재에 나서는 일도 있었다.
또 민주당 장경태 의원이 사도광산 관련 질의를 하던 중에는 야당 의원석에서 한 총리를 향해 “대한민국 총리 맞냐. 일본 총리 같다”는 비난이 나왔다. 취임 이후 첫 대정부질문에 나선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인사를 위해 본회의장 단상에 오를 때도 야당 의원들의 야유가 이어졌다. 당시 야당 의원들은 “나가! 들어가! 가지마!”, “일본으로 가세요”, “사과하세요” 등 인사말 내내 고성을 쏟아냈고, 여당 의원들은 박수를 쳤다.
지난 10일 장경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18회 국회(정기회) 제5차 본회의 외교, 통일, 안보에 관한 질문에서 김용현 국방부 장관에게 질의하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당 의원들은 전 정부를 탓하고 현 정부를 방어하기에 바빴다. 국민의힘 이종배 의원은 “문재인 정부에서 족보도 없는 소득주도성장 실험을 자행했다”면서 “무능하고 무책임한 문재인 정부가 국가를 파탄 직전까지 몰고 갔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께서는 탈원전 정책을 추진해 우리나라에 대한 신뢰도도 높이고,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을 자처하며 체코원전 수주에 결국 성공했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이 문재인 전 대통령의 딸 다혜씨를 “몰염치한 캥거루”라고 표현한 것을 두고는 인신공격이란 비판이 제기됐다. 권 의원은 문 전 대통령의 사위였던 서모씨의 부정채용 의혹과 관련해 박성재 법무부 장관에게 질의하던 중 다혜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본인을 ‘돌 맞은 개구리’라고 비유한 것을 언급하며 이렇게 말했다. 권 의원은 “대통령 딸이 아니고 대통령 사위가 아니었더라면, 대통령이 매관매직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그런 호사를 누릴 수 있었겠느냐”면서 “이 사건은 문재인 정부의 캥거루 게이트”라고 지적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과 딸 다혜 씨. 문다혜씨 SNS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번 대정부질문은 지난 7월 22대 국회 첫 대정부질문 파행 이후 처음으로 진행됐다. 당시 5번째 순서였던 민주당 김병주 의원의 “정신 나간 국민의힘 의원들” 발언 이후 28명의 여야 의원들은 아예 질의조차 하지 못했다.
유지혜 기자 keep@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