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AI 교과서 필요하지만 부작용 최소화하려면 속도 조절해야 [논설실의 관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내년 초등 3∼4, 중·고교 1학년의

수학·영어·정보 과목에 처음 적용

문해력 저하·디지털 과몰입은 과제

야당 제동 걸고 일정 촉박해 우려

내년에 도입될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가 확정됐다. 교육부가 어제 76종의 AI 디지털교과서가 검정심사에서 최종합격해, 일선 학교의 선정 절차를 거쳐 내년 1학기부터 교실에서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초등 3∼4학년, 중·고교 1학년의 수학·영어·정보 과목에 처음 적용된다. AI로 학생의 성취 수준에 맞는 학습 경로와 콘텐츠를 지원하고 교사는 토론 수업 등에 집중하면서 학생의 창의성을 키우자는 게 목표다. 학생들은 해당 과목들을 종이 교과서 없이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AI 교과서로 수업을 받게 된다. 이주호 교육부장관은 “디지털 선도·연구학교로 지정·운영된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학습전략 사용, 자기조절 영역 등에서 역량이 향상됐다”고 밝혔다. 이대로라면 우리나라는 AI 교과서를 공교육에 도입하는 세계 최초의 국가가 된다.

세계일보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AI 디지털 교과서 검정심사 결과 및 도입 로드맵 조정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교육부가 일부 과목의 도입 여부와 시기를 조정한 것은 바람직하다. 교육부는 당초 내년부터 초3·4, 중1, 고1 대상 수학·영어·정보 과목에 먼저 AI 교과서를 도입하고, 2026학년도 국어, 사회, 과학, 기술·가정, 2027학년도 역사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 “준비가 부족하다”는 우려가 그치지 않자 국어와 기술·가정은 도입하지 않기로 한발 물러섰다. 국어는 문해력 저하 등이 제기됐고, 기술·가정은 주로 프로젝트 수업으로 이뤄지는 과목 특성상 AI 교과서 학습과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어서다. 사회·과학도 당초 계획보다 1년 늦춰 2027년부터 도입하기로 했다.

문제는 야당과 전교조 등이 “시기상조”라며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는 점이다. 민주당은 지난 26일 AI 교과서를 ‘교육 자료’로 규정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을 단독으로 통과시켰다. 교과서는 모든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하지만, 교육 자료는 학교장이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현시점에서 AI 교과서의 법적 지위가 변동되면 사회적 혼란이 크다는 걸 알고도 밀어붙인 것이다. 정부·여당은 “민주당이 전교조 등 친야 성향 단체의 입장만 대변하고 있다”고 공격했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다. 교육부가 야당을 최대한 설득해야겠지만 야당도 반대를 위한 반대만 해선 안 될 일이다.

교사들이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개념의 교과서로 학생들을 가르쳐야 하는데, AI 교과서 검정심사가 석 달이나 늦어지는 바람에 도입 초기 파행이 우려된다. 교육부는 당초 8월까지 AI 교과서 검정심사를 마칠 계획이었지만 일정이 3개월이나 지체됐다.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 담임 배정이 주로 2월에 이뤄지기 때문에 준비 부족으로 수업 진행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교육부는 담당 교사들의 교육에 차질이 없도록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학생들의 디지털 과몰입, 학습 데이터 유출, 유해매체 접속과 같은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일찌감치 디지털 교육을 도입했던 스웨덴·노르웨이 등은 집중력·문해력 저하 등의 부작용 때문에 다시 종이책과 대면 중심 수업으로 돌아오고 있다고 한다. 반면교사로 삼을 필요가 있다. AI 교과서는 글로벌 선도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가야 할 방향이지만 예상되는 부작용과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려면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 사회적 공론화 과정이 충분할수록 더 좋을 것이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