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바이오 견제' 목적…상원 본회의·대통령 승인 절차 남아
삼바·셀트리온·에스티팜 등 CDMO 경쟁력 강화 나서 '눈길'
미국·중국 국기 [사진=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하원이 지난 9일(현지 시간) 본회의를 통해 찬성 306표, 반대 81표로 생물보안법을 통과시켰다. 생물보안법은 하원 상임위원회에서 통과된 법안 중 논란의 여지가 없는 법안을 신속하게 통과시키는 '규칙정지(Suspension of the Rules)' 법안으로 지정돼 표결이 진행됐다.
생물보안법의 제정까지는 상원 본회의와 조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이 남은 상태다. 해당 법안이 올해 4월 상·하원 상임위원회를 모두 통과한 점을 고려하면 상원 본회의에서도 막힘 없이 승인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상원도 생물보안법 제정을 지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 등 외신은 생물보안법이 최종적으로 통과될 확률을 70%로 내다봤다.
생물보안법 제정 배경은 무역 갈등을 겪고 있는 중국이 미국 시장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라는 해석이 많다. 미국 국민의 유전 정보가 중국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점도 있다. 즉 미국에 적대적인 외국 바이오 기업과 계약을 못 하게 함으로써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를 사전에 제거하겠다는 의미다. 틱톡 모회사인 중국기업 바이트댄스의 미국 퇴출과 비슷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국내 업계는 법안의 최종 통과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 기업의 중국 의존도가 79%로 조사된 만큼, 중국 기업과 거래하고 있는 기업은 늦어도 2032년까지 새 파트너를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생물보안법으로 수혜를 볼 가능성이 높은 기업으로는 대표적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있다. 실제 생물보안법 추진 소식 이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관련 수주 문의가 크게 늘어났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지난 6월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2024 바이오USA' 기자간담회에서 "미국 생물보안법 추진으로 회사에 들어오는 수주 논의가 2배 급증했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7월 미국 소재 제약사와 역대 최대 규모인 10억6000만달러(한화 약 1조46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는 회사의 지난해 전체 수주 금액인 3조5009억원의 40%를 초과하는 수준이다. 또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내년 4월 준공을 목표로 18만ℓ 규모의 신규 제5공장을 건설 중이며, 완공 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총 78.4ℓ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가운데)이 지난 6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22회 모건스탠리 글로벌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신규 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셀트리온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를 두고 업계 관계자는 "셀트리온이 CDMO에서 후발주자인 것은 맞지만, 그간 서 회장이 몸소 보여준 영업력과 사업 추진력을 고려하면 단기간에 입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국제 무대에서 CDMO 사업 추진을 공언한 것은 이미 관련 전략이 갖춰진 것으로 추측된다"라고 말했다.
원료의약품 CDMO 사업을 하는 에스티팜은 최근 연달아 수주에 성공하며 생물보안법안의 수혜를 받고 있다. 특히 에스티팜은 지난달 연간 수조 원대 매출을 기록 중인 블록버스터 신약의 '저분자 화학합성 의약품(small molecule)' 공급사로 선정됐다. 파트너사는 계약에 따라 비공개이나, 글로벌 10위권에 드는 제약사다. 이번 선정은 기존 중국 기업에서 에스티팜으로 변경된 것으로, 그동안 중국이 공급하던 원료를 에스티팜이 가져오게 됐다. 원래 올해 말 공장 실사 후 원료공급사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생물보안법 하원 본회의 통과 무게가 실리면서 예상보다 빨리 선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생물보안법의 유예 기간 동안 중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회장은 "원료의약품의 경우 인도와 경쟁할 것으로 전망되며, 미국이 자국 생산을 중요시하는 만큼 장기적으로는 미국에 위치한 공장이 장점이 될 것"이라며 "국내 기업들도 여기에 대비를 하고 국가에서도 외교력을 발휘해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전했다.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