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7 (화)

오세훈, 박민수 복지차관 사퇴 언급… “스스로 고민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9일 의정갈등 해결을 위해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의 자진 사퇴가 필요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정부·여당이 의대 정원 확대를 포함한 의료개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을 제안한 가운데 대한의사협회(의협)는 2025·2026년 의대 증원 백지화를 주장하며 참여를 거부하고 있다. 오 시장은 대화의 물꼬를 트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 “환자 본인이 전화할 수 있으면 경증” 발언으로 논란이 된 박 차관의 자진 사퇴 필요성을 언급한 것이다.

세계일보

오세훈 서울시장.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 시장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여야의정 협의체에 의사단체가 참여해서 논의가 좀 물꼬가 트였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우선 의료계에서 2025학년도 입시부터 의대 정원을 재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오 시장은 “이미 입시가 시작이 된 만큼 어려워진 것 같다”고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그는 2026학년도 정원 재논의에 대해선 “그래야 논의가 시작될 수 있다“며 찬성 입장을 내비쳤다.

의료계가 복지부 장·차관 경질을 요구한 데 대해 오 시장은 “사실 지금 당장 장·차관을 바꾸는 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면서도 “또 한편 생각해보면 (의협을) 어떻게든 참여시키려면 좀 융통성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차관님 정도는 스스로 (사퇴) 고민을 하는 것도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지 않겠나”라며 “그래야 의협에서 들어오는 데 어떤 하나의 계기가 마련되지 않겠나 하는 생각도 든다”고 말했다. ‘스스로 거취를 결단하라는 조언이냐’는 사회자 질문에 오 시장은 “그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답했다.

오 시장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불을 당긴 ‘지구당 부활’ 논의와 관련해선 “퇴행적“이라고 비판했다.

오 시장은 과거 ‘오세훈법’으로 불리는 정치개혁 관련 법안을 주도하며 지구당 폐지에 앞장섰다. 지구당은 지역위원장을 중심으로 사무실을 두고 후원금을 받을 수 있는 중앙당 하부 조직으로, 2002년 대선 당시 ‘차떼기’로 불린 한나라당(국민의힘 전신)의 불법 정치자금 수수 사건을 계기로 정당법과 정치자금법이 개정되면서 사라졌다.

오 시장은 “전당대회 때 해놓은 말빚을 갚으시는 단계인데, 제고를 해주셨으면 좋겠다”며 “어차피 민생과는 관련 없는 얘기고 정치권의 이해관계인데, 과연 국민들이 동의하실 수 있는 사안인지는 신중하게 생각해 줬으면 좋겠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아마 제도 바꾸고 나면 1~2년, 2~3년은 사고가 안 생길 것“이라며 “그런데 제도가 5년, 10년 가다 보면 과거의 구태가 반복될 확률이 높아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오 시장은 야권에서 제기하는 ‘계엄 준비설’과 관련해선 “광기 어린 주장, 선동”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탄핵이 목표니까 미리 생길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차단하려는 계산도 있을 것”이라며 “이렇게 극단적인 주장을 자꾸 반복하는 것은 정국을 정쟁으로 계속 몰아가겠다는 전략적인 목표가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국민 여러분이 준엄한 시선으로 바라봐주셔야 된다. 자꾸 거기에 휘둘리면 재미 들릴 것 같다”고 지적했다.

오 시장은 최근 발표된 차기 대권 양자대결 여론조사 결과를 놓고는 “그렇게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진 않는다”고 밝혔다. 해당 조사에서 오 시장과 한동훈 대표는 이재명 대표와 양자대결에서 동일한 54%대 35%의 결과가 나왔다.

오 시장은 “누가 제일 호감 가냐, 누가 제일 좋으냐, 이런 여론조사는 매스컴 등장 빈도에 비례할 수밖에 없다“며 “서울도 지방자치단체로 분류되기 때문에 언론에서도 일단 그 비중이 작다”고 설명했다. ‘그런 상황에서 한 대표하고 동률을 이뤘다‘는 사회자 말에 오 시장은 “다들 귀여워해주셔서, 좋아해주셔서 정말 감사하다”고 말했다.

구윤모 기자 iamkym@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