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7 (화)

핀테크 업계, AI 챗봇 춘추전국시대 새 국면…“과감한 규제샌드박스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오병훈기자] 인공지능(AI) 챗봇 서비스 전쟁을 벌이고 있는 핀테크 업계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다. 금융위원회 망분리 규제 개선 기조에 따라 연내 생성형 AI 서비스에 일부 금융정보를 사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다채로운 금융 AI 서비스가 나오기 위해서는 과감한 규제샌드박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금융위원회(이하 금융위)는 ‘금융분야 망분리 개선 로드맵’을 발표했다. 로드맵 내용 중 핀테크 업계에서 관심 있게 바라보고 있는 것 중 하나는 바로 로드맵 1단계에 해당하는 ‘생성형 AI 허용’이다. 기존 금융지주사들이 비교적 신기술에 보수적인 만큼, 차세대 기술에 집중 해온 핀테크 기업이 차별점을 확보할 수 있는 지점이기 때문이다.

◆초개인화 AI 전략 택한 핀테크 업계

지금까지 금융권에 도입된 AI 챗봇은 주로 서비스를 안내해주거나, 간단한 투자 종목 추천해주는 등 상담원 역할을 하는 데 그쳤다. 망분리 규제로 인해 전반적인 금융 데이터 접근이 어려워 폭넓은 서비스 개발이 어려웠던 탓이다. 시중 은행에서 선보인 AI 챗봇 ▲KB국민은행 ‘비비’ ▲신한은행 ‘오로라’ ▲하나은행 ‘HAI’ ▲우리은행 ‘위비봇’ ▲농협은행 ‘올인원상담봇’ 등은 대체로 상담 서비스에 치중된 AI 챗봇으로 출시됐다.

핀테크 업계는 차별화 전략으로 AI 챗봇에게 상담사를 넘어선 초개인화 맞춤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용자 동의로 전송받은 마이데이터와 생성형 AI를 결합한 자산관리사 개념 챗봇 서비스를 선보이거나, 이용자 건강 정보를 분석해 보험을 골라주는 보험 추천 서비스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예시로 뱅크샐러드가 연내 출시 예정인 ‘토핑플러스(+)’와 다음달 출시를 앞둔 카카오페이 ‘보험진단AI’ 등이 있다. 토핑플러스는 뱅크샐러드가 마이AI(마이데이터+AI)를 기반으로 제작한 개인 맞춤형 AI 자산관리사 다. 거대언어모델(LLM)로 이용자 자산 상태를 진단하고, 뉴스 데이터를 활용해 이용자가 궁금할 법한 금융정보를 바로바로 제공한다. 뱅크샐러드는 향후 토핑플러스에 웹사이트, 블로그, 소셜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도 인덱싱해 다채로운 질문에도 답변을 할 수 있도록 고도화할 계획이다.

카카오페이 보험진단AI는 이용자 건강관리와 보험추천 서비스를 연계한 AI 서비스다. 이용자 건강검진 및 보험 데이터를 활용해 건강 상태를 분석하고, 이용자 맞춤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한다. 중간중간 등장하는 어려운 의료 용어에 대한 이용자 질문에도 대답해 주는 기능이 포함됐다. 이용자 건강 상태에 따른 보험상품을 연계하는 등 이용자 맞춤 보험 전문 AI 챗봇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생성형 AI로 차별화 한계 극복할까…업계 “과감한 규제샌드박스 필요”

금융위는 연내 규제샌드박스 방식으로 생성형 AI를 활용해 가명정보까지 처리할 수 있도록 규제특례 허용할 방침이다. ‘가명정보’란 추가정보 없인 신용정보주체를 특정할 수 없는 개인신용정보를 뜻한다. 지금까지는 가명정보를 포함한 대부분 금융정보를 생성형 AI를 통해 처리할 수 없었던 탓에 핀테크 기업은 생성형 AI를 적용한 챗봇을 개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챗봇에 생성형 AI를 활용하더라도, 주로 마이데이터와 웹상 뉴스·블로그·소셜미디어 정보를 활용하는 데 그쳤다.

핀테크 업계는 이를 활용해 보다 다채로운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한 핀테크 업계 관계자는 “기존 챗봇 서비스를 고도화하는데는 도움이 될 것”이라며 “챗봇 서비스 외 다양한 신개념 서비스 개발까지도 이어질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동시에 과감한 규제샌드박스 필요성을 강조하는 의견도 있었다. 또 다른 핀테크 업계 관계자는 “기대한 것 만큼 자유도가 높지 않을 수 있다”며 “10년만의 망분리 개선인 만큼 보다 과감한 규제샌드박스로 금융IT 발전 속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