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물가 목표치인 2%까지 떨어졌지만 체감물가와는 괴리가 있다는 소비자들의 평가도 있다. 3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들이 과일을 고르고 있다. 김호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물가 안정 속도만큼 내수 침체에도 가속도가 붙었다. 석유류와 농산물 값이 안정을 찾으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 초반으로 내려왔지만, 체감경기는 더욱 악화되는 모습이다. 팍팍한 살림살이에 지갑을 닫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내수가 장기간 부진을 이어오고 있는 탓이다.
물가 안정과 수출 호조의 온기가 소비와 투자로 뻗칠 수 있도록 하려면 내수 부진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고금리를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다음달 기준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목소리에도 점점 큰 힘이 실리고 있다. 정부도 금리 인하 여지가 생겼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8월 소비자물가 동향이 발표된 3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물가가 드디어 2% 정도로 전월에 비해 안정되기 시작하는 것 같다"며 "금리를 조금 내릴 여지가 좀 더 생기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2.0%)은 올해 들어 처음으로 2%대 초반을 기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도 전달보다 0.1%포인트 내린 2.1%로 집계됐다. 2021년 11월(1.9%) 이후 최저치다.
지출 비중이 큰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 상승률도 2.1%였는데, 지난해 7월(2.0%)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3월까지만 해도 3%대였던 물가상승률이 빠르게 떨어지면서 한은이 금리를 내릴 환경이 조성됐다는 평가가 늘고 있다. 한 총리의 발언도 이러한 맥락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기상이변과 같은 걸림돌이 없다면 올해 남은 기간에도 물가 안정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향후 추가 충격이 없다면 소비자물가는 2%대 초반으로 안정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2.6%인 올해 연간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낮출 가능성도 있다. 황경임 기재부 물가정책과장은 "다른 변수가 없다면 (목표치가) 내려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미국이 이달에 금리를 내릴 것이 거의 확실시됐다는 점도 한은이 이른 시일 내 금리를 낮춰야 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요소다. 앞서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9월 인하 개시'를 강력하게 시사했다. 이에 한은을 향한 10월 금리 인하론에 더욱 큰 힘이 실리고 있다.
내수 부진의 장기화도 금리 인하를 재촉하는 핵심 요인으로 지목된다. 지표상 물가는 안정됐지만 가계 살림살이가 쪼들리는 탓에 소비가 활력을 찾지 못하는 실정이다. 가계의 여윳돈을 뜻하는 가구 흑자액(전국·1인 이상·실질)은 올해 2분기 기준 월평균 100만9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 줄어들었다.
가계가 소비를 줄이면서 재화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7월 소매판매가 1년 전보다 1.9% 줄었다. 실질적인 소비 동향을 나타내는 '음식점 포함 소매판매'도 2.3% 감소했다.
내수를 살리기 위해선 금리 인하와 경기 부양책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두원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내수가 워낙 좋지 않으니 한은이 다음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때 금리를 바로 내리는 것이 좋을 것"이라며 "금리 정책은 3~6개월 시차가 있는 만큼 즉시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금리를 인하한다는 사실 자체가 정책 신호로서의 상징성을 띤다"고 강조했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도 "최근에는 고소득층조차도 소비 상황이 좋지 않을 정도로 내수가 부진하다"면서 "주된 원인은 고물가와 고금리가 해소되지 않았다는 점"이라고 꼬집었다.
다만 고물가가 완전히 해소됐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시각이 많다. 국제 유가 하락으로 석유류 물가 상승폭이 줄고 농산물 가격 상승폭도 축소됐지만, 이는 대외 여건과 날씨에 따라 언제든 흔들릴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달 석유류 물가상승률은 0%대 초반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고, 신선과실 물가상승률은 9.6%로 7월(21.3%)과 비교해 상승폭을 크게 좁혔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품목을 중심으로 물가 불안은 지속되고 있다. 배 가격은 아직도 1년 전보다 100% 이상 높고 사과 가격 상승률도 15% 선을 넘었다. 채소인 배추 가격도 지난해보다 10% 가까이 올라 있는 상태다.
[이희조 기자 / 한상헌 기자 / 한재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