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5 (일)

윤 대통령, 2일 국회 개원식 불참…‘마이웨이’에 지지율도 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직선제 도입 후 처음…대통령실 “특검·탄핵 남발” 국회 탓

직무 수행 긍정 평가 4%P 하락 23%…총선 참패 직후 수준

‘의료·연금 개혁 완수’ 강조했지만 ‘불통·독단적’ 평가 누적

경향신문

거리 못 좁히는 의·정…의대생 학부모들은 “증원 절대 반대” 전국의대생학부모연합 회원들이 1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의대 교육 정상화를 촉구하며 손팻말을 들고 있다. 성동훈 기자 zenism@kyunghyang.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2일 열리는 제22대 국회 개원식에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 대통령의 개원식 불참은 1987년 직선제 도입 후 처음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특검과 탄핵을 남발하는 국회를 먼저 정상화하고 (대통령을) 초대하는 것이 맞는다”며 이렇게 밝혔다. 이 관계자는 “(야당 의원이) 살인자 망언을 서슴지 않고 사과도 없다”고도 했다. 대통령실은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김건희 살인자’ 발언에 대해 공개 사과를 촉구했으나 전 의원은 응하지 않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또 “대통령을 불러다가 피켓 시위하고 망신 주겠다고 의심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과연 (대통령이) 참석할 수 있겠나”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국정브리핑 및 기자회견에서 민주당이 요구하는 영수회담에 대해 “지금 국회 상황은 제가 살아오면서 처음 경험하는 상황”이라며 거절 의사를 밝혔다. 민주당이 검사·방송통신위원장 등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발의하고 윤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가 확실시되는 법안을 반복적으로 통과시킨 데 대한 불만이 표출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국회 탓을 했지만, 여론은 윤 대통령을 꾸짖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달 27~29일 전국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30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전주 대비 4%포인트 하락한 23%로 집계됐다. 취임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지지율을 기록한 것이다. 부정 평가는 66%였다(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특히 의·정 갈등 해법을 두고 대통령실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충돌 사태까지 빚어지면서 윤 대통령의 ‘마이웨이’ 국정철학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분석도 있다.

이런 태도는 지난달 29일 국정브리핑 및 기자회견에서도 그대로 드러났다. 당시 윤 대통령은 “개혁은 필연적으로 저항을 불러온다”며 “쉬운 길을 가지 않겠다”고 말했다. 의료공백 우려에 관한 취재진의 지적에는 “의대 증원에 대해 완강히 거부하는 분들의 주장을 말씀하신 것 같다”고 했다. 여야는 물론이고 언론도 의료계의 잘못된 주장에 경도돼 있다는 취지로 읽힌다.

대통령실은 여전히 국정 방향은 옳다고 평가하는 분위기다. 한 관계자는 지지율 하락을 “대국민 홍보의 문제”라고 말했다. 정부 관계자는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려면 어느 정도의 뚝심과 고집이 있어야 한다”며 “우리 사회에 누적돼온 과제에 윤 대통령이 손을 댄 것은 높이 평가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문제는 대야 관계, 인사, 역사관, 정책,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 등에 대한 윤 대통령의 마이웨이 국정운영이 누적되면서 독선 이미지가 강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의료개혁을 두고 한 대표와의 갈등이 고조되면서 대통령실 역시 운신 폭이 좁아지고 있다. 지난달 29일 국민의힘 연찬회에서 의원들은 의료개혁 관련, 정부 입장을 보고받는 자리에서 “우릴 다 죽일 셈이냐” “정책은 이겼으나 정치는 실패했다”는 취지로 성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내부 갈등이 격화하며 윤 대통령의 비호감도는 오르고 정책 추진력은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가 대통령실에서도 제기된다. 여권 관계자는 “(의료대란으로) 생명권에 위협을 받는 국민에게는 민생을 강조하는 대통령의 말이 공허하게 들릴 것”이라고 했다.

유새슬·민서영 기자 yooss@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해병대원 순직 사건, 누가 뒤집었나? 결정적 순간들!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