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재 딜리버스 대표 인터뷰
AI 적용해 6시간 안에 물류 배송
월 40만개 이상 물류 처리
“자사몰 운영 기업 등도 당일 배송 가능”
AI 적용해 6시간 안에 물류 배송
월 40만개 이상 물류 처리
“자사몰 운영 기업 등도 당일 배송 가능”
김용재 딜리버스 대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인공지능(AI)이 어디에 활용되냐고요? 배송 최적화에 적용되고 있어요. 6시간 안에 주문에서 배송이 가능한 이유는 AI가 이 과정을 처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딜리버스’만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높은 금리와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로 스타트업 투자 혹한기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서도 일부 기업은 대규모 투자를 통해 승승장구하고 있다. 당일 도착보장 택배 배송 서비스인 ‘딜리래빗’을 제공하는 스타트업 딜리버스도 그중 하나다. 투자가 어렵다는 지난해 초 46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한 데 이어 1년 만인 지난달 146억원에 달하는 시리즈B 투자까지 마무리 지었다. 2022년 말 창업한 뒤 2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 현재까지 누적 투자 금액은 224억원이다.
김용재 딜리버스 대표는 최근 매일경제신문과 인터뷰에서 “시리즈A 투자를 받고 사업을 하는 과정에서 빠른 배송에 대한 고객의 니즈가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라며 “지난해 성장을 기반으로 향후 배송 권역을 빠르게 넓히면서 기술을 고도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국내 배송 시장은 빠르게 커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를 거치면서 비대면 수요가 빠르게 늘었고 이 과정에서 ‘당일 배송’ ‘새벽 배송’과 같은 ‘퀵커머스’가 국내 배송 시장에서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배송 시장이 커지면서 자연스럽게 ‘반품’ 처리도 많아지고 있다. 반품을 수거하는 반품 배송 시장 역시 덩달아 커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국내 배송 물동량은 약 45억 건으로 연평균 약 8%의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퀵커머스 시장의 최근 3년 기준 연평균 성장률은 약 80%에 달한다.
주문부터 배송까지 6시간… 비결은 AI
딜리버스 경기 광주 물류 허브 내부 [사진=딜리버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 대표는 배송 시장이 향후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딜리버스를 창업했다. 딜리버스의 강점은 주문부터 배송까지 6시간 안에 끝마친다는 점이다. 쿠팡과 같은 기업은 서울 근교에 대규모 물류창고를 지은 뒤 다양한 물품을 적재해놨다가 주문이 들어오면 바로 배송하는 방식으로 당일 배송을 이뤄냈다.
김 대표는 “엄청난 투자가 필요한 만큼 쿠팡을 제외한 다른 이커머스 기업은 이러한 방식으로 당일 배송을 하기 쉽지 않다”라며 “우리는 기존의 배송 방식에서 뺄 수 있는 부분을 과감히 쳐내고 AI를 기반으로 최적 배송 루트를 제공함으로써 6시간 내 배송이라는 모델을 만들어 냈다”라고 설명했다.
일반적인 이커머스 기업은 주문이 들어오면 대리점에서 상품을 모아 ‘허브’라 불리는 터미널로 보내고, 이 터미널에서 다시 분류 작업을 거쳐 배송 지역에 가까운 ‘서브 터미널’로 보낸다. 이렇게 상품을 분류하는데 시간이 필요하다보니 빠른 배송이 어려웠다.
딜리버스는 대리점을 거치지 않고 자체 허브 센터에서 분류 작업을 거친다. 허브센터에서 분류가 끝난 상품은 ‘유닛 박스’에 보관되고, 이 박스가 각 배송지에 있는 ‘무인 지역 허브’에 적재된다. 배송 기사는 이 허브에 들러 QR 코드로 자신이 배송해야 하는 박스를 들고 딜리래빗이 제공하는 최적의 동선을 따라 배송하면 된다.
300만건 데이터 확보…오류율 0.03%
딜리버스 딜리래빗 간선 차량 [사진=딜리버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무신사를 비롯해 지그재그를 포함해 약 40여개의 이커머스 기업이 딜리래빗을 이용해 당일 배송 서비스를 제공했다. 딜리래빗의 서비스 물량도 올해 초 대비 현재 4배 이상 늘어나서 월 40만개 이상의 물류를 처리하고 있다. 김 대표는 “딜리래빗을 찾는 기업이 많아지면서 지난해 서울 위주 배송에서 이제는 경기 인천까지 확장했다”라며 “올해 말에는 전국을 커버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추려고 한다”라고 말했다.
빠른 성장을 하고 있지만 딜리버스가 처음 딜리래빗을 출시했을 때만 해도 업계 후발주자로 꼽혔다.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 많았는데 딜리버스는 불과 1년 사이에 배송 시장에서 독보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김 대표는 딜리버스의 성장 이유로 ‘기술’을 꼽는다. 딜리버스는 2500원이라는 기존의 택배 비용을 높이지 않으면서도 6시간 배송이라는 플랫폼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AI가 큰 힘을 발휘했다.
먼저 무인 지역 허브에서 기계가 자동으로 상품을 지역별로 분류한다. 분류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율은 불과 0.03%. 이렇게 분류된 상품은 배송 기사들이 쉽게 실을 수 있도록 유닛 박스에 보관되는데, AI를 기반으로 배송 루트가 최적화되어 있어 배송 기사들이 빠르게 배송할 수 있다.
김 대표는 “6시간 내 도착을 보장하려면 결국 배송 루트를 최적화하는 일이 필요하다”라며 “배송 기사가 주차하고, 걷고, 배송지에 도착해 물건을 내려놓는 모든 과정을 데이터화해 AI로 분석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심지어 건물에 엘리베이터가 몇 개 있는지, 아파트인지 주택인지와 같은 변수까지 계산해 루트를 제공한다.
“AI를 제대로 활용한 물류 기업 될 것”
김 대표는 “배송과 관련된 누적 데이터는 300만건을 넘어섰다”라며 “이 데이터를 이용해 한 기사가 100~200개의 택배를 배송한다고 하더라도 도착 시간을 보다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배송하면서 인근 지역에 있는 반품 상품을 수거할 수 있도록 AI가 배송 루트를 짜는 만큼 반품 과정에 걸리는 시간도 하루로 단축할 수 있다.
김 대표는 “이러한 기술을 기반으로 딜리버스는 배송시장에서 규모가 작은 스타트업임에도 빠른 성장을 할 수 있었다”라며 “가격 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는 만큼 여러 이커머스 기업들이 우리를 찾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딜리버스는 시리즈B 투자를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배송 권역을 전국으로 넓혀나간다는 계획이다. 현재보다 4~5배가량 큰 물류 허브를 만들고 상품 분류 기계의 오류율 0.03%를 개선해 0%까지 낮춰 나간다는 계획이다. 김 대표는 “딜리래빗은 기존의 물류 프로세스를 바꾸지 않으면서도 쿠팡 수준의 빠른 배송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라며 “여러 자사 몰은 물론 쇼핑몰 등이 빠른 배송을 할 수 있도록 도와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이 꾸준히 전망되는 만큼 이 과정에서 배송 산업은 신속성과 정확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그는 “미래 물류의 방식이 바뀐다고 하더라도 신속성과 정확성은 유지될 것”이라며 “딜리버스는 AI를 제대로 활용하는 최초의 물류 기업으로 자리매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