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3 (금)

“한국도 영향권… ‘지진 무방비’ 구옥 대책 시급”[글로벌 포커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00∼150년 주기 ‘난카이 대지진’ 일어날까

日 ‘난카이 대지진’ 난다면 한국은?… 부산-울산-경남 진주 등 흔들려

구도심은 내진 설계 안된 주택 많아… 간판-외벽 등 구조물 보호책 세워야

올 6월 지진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던 전북 부안군에서 규모 4.8 지진이 발생했다. 큰 피해는 없었지만 이 지진은 한국 역시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각인시켰다. 불과 두 달 뒤인 이달 8일 일본 미야자키현에서 발생한 규모 7.1의 강진으로 ‘난카이 대지진’에 대한 공포까지 커졌다. 전문가들은 “현재 전망대로 수년 안에 규모 9.0의 난카이 대지진이 일어난다면 한국 또한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철저한 대비를 당부했다.

특히 이달 지진이 발생한 미야자키현은 부산과 불과 420km 떨어져 있다. 난카이 대지진이 발생한다면 부산, 울산, 경남 진주 창원 마산 등 한반도 남동부에 즉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미야자키 지진 당시 남해 연안에 설치된 지진계에서 진폭 2cm 규모의 지진동이 관측됐다”며 “이론적으로 계산하면 규모 9.0 지진이 발생했을 때 지진동의 크기는 30배로 커진다”고 설명했다. 난카이 대지진이 발생하면 남해 일대의 땅이 수직으로 위 30cm, 아래 30cm 흔들려 건물이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다만 지진해일 피해는 낮다고 봤다. 한국은 난카이 해곡과의 사이에 일본 열도를 두고 있어 지진해일이 넘어오기는 어렵다.

대형 지진은 인근 단층을 자극하기 때문에 몇 년 내 또 다른 지진을 유발할 수 있다. 2016년 경북 경주(규모 5.8), 2017년 경북 포항(규모 5.4) 등에서 발생한 지진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분석된다. 경주, 포항 지진 이후 국내 지진 발생 횟수 또한 빠르게 늘고 있다.

다만 당장 생활 속 건물의 내진 설계 강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국내의 내진 설계 의무화 법은 1988년 도입됐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이를 충족하는 민간 건축물은 전국에서 16.3%에 불과하다.

즉, 의무화 이전에 지어진 민간 건축물에는 최소 수천만 원에서 최대 수억 원이 드는 내진 보강을 강제할 방법이 사실상 없는 것. 이 때문에 최소한 간판, 외벽, 유리 등 지진의 피해를 크게 받을 수 있는 구조물을 보호할 방법을 강구해 전체 피해 규모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내진 설계 전문가인 허종완 인천대 도시환경공학부 교수(인천방재연구센터 센터장)는 “1988년 이전에 지어진 주택은 사실상 내진 설계가 되어 있지 않아 지진에 매우 취약하다”며 “벽돌로 지은 가옥이 밀집해 있는 주요 도시의 옛 도심 지역에 대한 지진 대책 수립이 특히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지윤 기자 asap@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