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바이유 전월비 1.5%↑ 배럴당 83.83弗
원화기준 0.4%·계약통화기준 0.2% 상승
달러 약세 본격화땐 안정세 복귀 가능성
국제유가가 오름세를 나타내면서 수입물가지수는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넉 달 연속 상승하다가 5월 하락했으나, 6월 상승세로 돌아선 뒤 7월까지 2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최근 서울 시내의 한 주유소에 표기된 유가정보 임세준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제유가가 오름세를 나타내면서 수입물가가 2개월 연속 올랐다. 수입물가 오름세 기조가 계속될지는 미지수다. 달러 약세가 본격화하면 수입물가도 안정세를 되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잠정)에 따르면 7월 수입물가(원화기준)는 전월대비 0.4% 상승했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9.8% 올랐다.
수입물가지수는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넉 달 연속 상승하다가 5월 하락했으나, 6월 상승세로 돌아선 뒤 7월까지 2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국제유가가 올랐기 때문이다. 7월 평균 두바이유가는 배럴당 83.83달러를 기록했다. 6월 82.56달러 대비 1.5% 상승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원재료 수입물가는 광산품이 상승하며, 전월대비 0.5% 뛰었다. 중간재는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석탄및석유제품 등이 상승해 0.3% 올랐다. 자본재 및 소비재도 각각 0.3% 상승했다.
환율 효과도 있었지만, 비교적 미미했다. 원·달러 평균환율은 6월 1380.13원에서 7월 1383.38원으로 0.2% 오르는데 그쳤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7월에 국제유가가 상승한 것은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된 영향이 있었던 것”이라고 분석했다.
8월에도 상승세가 이어질지는 장담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로 인해 달러가 약세를 지속하면 수입물가는 하방압력을 맞이할 수 있다. 유가도 계속 오름세를 유지한다고 확신하기 힘들다는 설명이다.
이 팀장은 “원·달러 환율이 낮아지게 되면 계약 통화 기준 수입 원가를 원화 기준으로 전환을 할 때 그만큼 상승 확률이 낮아지게 될 것”이라며 “국제유가는 8월 초에는 또 조금 하락하는 모습도 보이고 있어서 상승이 시작됐다고 해석하긴 불분명하다”고 설명했다.
7월 수출물가도 수입물가와 마찬가지로 전월대비 0.7% 오르면서 2개월 연속 상승했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12.9% 올랐다.
반도체 시장이 호황을 나타내면서 상승세를 견인했다. 공산품 수입물가는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석탄및석유제품 등이 올라 전월대비 0.7% 상승했다. 농림수산품은 3.1% 하락했다. 특히 ‘동적 램(DRAM)’은 전월대비 6.1% 올랐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69.2% 상승이다.
7월 수출물량지수는 전년동월대비 9.1% 상승했다.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석탄및석유제품 등의 수출이 호조세를 보인 덕이다. 가격도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수출금액지수는 14.9% 올랐다.
수입물량지수는 광산품, 석탄및석유제품 등이 증가하면서 7월 5.3% 상승했다. 수입금액지수는 8.2%올랐다.
7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가격(5.2%)이 수입가격(2.7%)보다 더 크게 올라 2.5% 상승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상품 한 단위 가격과 수입 상품 한 단위 가격의 비율이다. 우리나라가 한 단위 수출로 얼마나 많은 양의 상품을 수입할 수 있는지 가늠할 수 있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수출물량지수(9.1%)와 순상품교역조건지수(2.5%)가 모두 올라 11.8% 뛰었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우리나라 수출 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전체 상품의 양을 뜻한다. 홍태화 기자
th5@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