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정관중은 한화·삼성·롯데·KIA 순서…홈·원정 최다 매진도 한화
매진된 잠실구장 |
(서울=연합뉴스) 천병혁 기자 = 올해 프로야구는 2024 파리 올림픽 기간에도 흥행 돌풍을 이어갔다.
KBO 사무국에 따르면 올림픽 기간 예상치 못한 폭염과 우천으로 일부 경기가 취소되긴 했으나 관중 추세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고 한다.
KBO리그는 12일 현재 정규시즌 545경기에 총 798만8천527명(경기당 평균 1만4천658명)이 입장해 13일 경기에서 역대 5번째로 8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16년 693경기 만에 달성한 800만명 역대 최소경기 기록을 올 시즌 100경기 이상 앞당길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10개 구단 홈·원정 관중(8월 12일 기준) |
올해 프로야구가 유례없는 흥행 돌풍을 일으키는 것은 알려진 대로 MZ세대 중에서도 20∼30대 여성 관중의 증가가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불과 10여년 전까지만 해도 '아저씨'들이 주요 팬이었던 프로야구가 이제는 20∼30대 여성이 전체 관중의 과반을 차지하며 새로운 중심축으로 떠올랐다.
KBO가 지난달 인천 SSG랜더스필드에서 열린 올스타전 티켓 구매자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20대 여성이 39.6%, 30대 여성은 19.1%를 기록하는 등 여성 관중이 68.8%로 31.2%인 남성보다 두 배 이상 많아 화제를 모았다.
젊은 여성 관중의 폭발적인 증가에 대한 해석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소셜미디어(SNS)의 일상화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매진 신기록을 세운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
그렇다면 역대급 흥행 돌풍이 이는 가운데 최고 인기 구단은 어디일까.
서울 연고 팀인 두산 베어스는 지난 8일 올 시즌 10개 구단 중 가장 먼저 시즌 관중 100만명을 돌파했다.
하지만 두산보다 잠실 홈경기를 6게임 덜 치른 LG 트윈스가 평균관중은 1만9천220명으로 현재 1위다.
뒤를 이어 삼성 라이온즈(1만7천485명), 두산(1만7천297명), KIA 타이거즈(1만7천249명), 롯데 자이언츠(1만6천267명) 순서다.
원정 관중 순위는 다른 모습이다.
원정 관중은 한화 이글스가 평균 1만7천362명으로 가장 많고 삼성(1만6천941명), 롯데(1만6천633명), KIA(1만6천97명)가 차례로 줄을 섰다.
한화는 홈구장이 10개 구단에서 가장 작은 1만3천석인 까닭에 홈 평균관중 수가 8위에 불과하지만 원정 경기에서는 가장 많은 팬을 동원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반면 홈 관중 1위인 LG는 원정 관중이 1만4천468명으로 5위에 그쳤고 두산(1만4천306명)은 6위다.
10개 구단 홈·원정 매진 기록 |
구단별 매진 횟수도 한화가 단연 1위다.
한화생명 이글스파크에서 올 시즌 40회 매진을 달성하며 역대 최다 매진 신기록 행진을 벌이고 있는 한화는 원정 구장 19회 매진 등 홈·원정 합해 59회 매진으로 전체 1위에 올랐다.
매진 2위는 홈 21회, 원정 25회로 총 46회를 달성한 KIA가 차지했다.
삼성은 총 35회(홈 17회·원정 18회) 매진으로 3위, 롯데는 홈 매진이 9회에 불과하지만 원정 매진 24회로 합계 33회를 기록하며 4위에 올랐다.
인기 구단을 측정하는 또 하나의 기준인 시청률에서는 또 다른 순서를 보인다.
KBO리그 중계 방송사인 MBC 스포츠+는 6월 20일 기준으로 10개 구단 시청률 조사를 한 결과 KIA가 1.751%로 압도적인 1위를 했다고 전했다.
2위는 한화(1.382%), 3위 롯데(1.167%), 4위 삼성(1.126%)이었다.
이처럼 인기 구단을 재는 척도는 단순히 홈 관중 순위가 아니라 어떤 기준을 잡느냐에 따라 확연히 달라진다.
그래도 한 가지 분명한 점은 올 시즌 지방 구단 팬들의 관심이 대폭 증가했기에 KBO리그 전체 관중도 폭발적으로 늘어났다는 사실이다.
shoeles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