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7 (화)

"고성능 위성 카메라로 뉴스페이스 선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 우주 스타트업의 기술력이 인정받으려면 결국 선진 시장인 미국·유럽의 글로벌 기업들과 수출계약을 맺어 경쟁력을 입증해야 합니다."

우주산업 스타트업 텔레픽스를 이끄는 조성익 대표(46·사진)는 11일 매일경제신문과 인터뷰에서 "사업 초기부터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기존 위성용 광학카메라의 2배 성능을 내는 카메라를 개발했다"며 "독일 위성 기업과 약 2000만달러(270억원) 규모 수출계약을 앞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기업과도 수출계약 성사를 목전에 두고 있으며 중남미·동남아 등에서도 문의가 쇄도하고 있어 올해 말부터 가시적인 수출 성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19년 설립된 텔레픽스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해양위성센터장을 지낸 조 대표를 비롯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과 민간 기업 출신 엘리트들이 안정된 직장을 박차고 나와 힘을 합친 스타트업이다.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출신인 조 대표는 2007년부터 해양과학기술원에서 근무하며 국내 최초 정지궤도위성인 천리안 1호 개발에 참여하는 등 국내 최고 해양위성 전문가로 꼽히던 인물이다.

그는 2021년 국가지원사업으로 생계를 겨우 유지하던 텔레픽스를 인수하면서 대표로 회사에 합류한 뒤 빠른 성장을 끌고 있다. 지난해 말 대신증권을 상장주관사로 선정한 텔레픽스는 2025년을 목표로 코스닥시장 상장도 준비 중이다. 조 대표는 "2014년 프랑스로 건너가 에어버스와 천리안 2호 위성을 공동 개발하면서 민간 우주사업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고 창업의 꿈을 키웠다"고 말했다.

매일경제

텔레픽스가 개발한 초소형 큐브위성용 광학 카메라.


텔레픽스의 주력 사업은 인공위성용 광학카메라(위성 탑재체) 판매와 위성 촬영 영상 판매·분석 서비스다. 텔레픽스가 개발한 차세대 위성용 카메라는 특허를 받은 초점 조절 기술을 적용해 기존 제품보다 촬영 효율·화질이 월등히 뛰어나다. 동일한 시간 기준 2배 이상 넓은 지역을 촬영해 분석할 수 있다.

텔레픽스는 발사체(본체)를 만드는 다른 기업에 위성용 카메라를 공급하면서 대금 일부를 촬영 영상과 이미지 분석 권한으로 받는 형태의 판매 계약을 맺고 있다. 조 대표는 "예를 들어 위성용 카메라 한 대당 가격이 100억원이라면 발사 전 60억원을 우선 현금으로 받고, 나머지는 위성영상 판매권과 분석 권한으로 대신 받는 형태"라며 "발사체 개발은 전 세계적으로 경쟁이 치열하고 초기 투자 규모도 부담스럽기 때문에 위성영상에 집중하는 사업 전략을 짰다"고 설명했다.

텔레픽스는 위성용 카메라로 촬영한 해양 영상으로 각국 해조류 분포 현황을 분석한 뒤 이를 탄소배출권으로 교환해주는 블루카본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블루카본은 김과 같은 부유 해조류에 의해 흡수·저장되는 탄소로, 효율적인 탄소 흡수 및 저장 능력 때문에 기후위기를 해결할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이 서비스는 이미 콘셉트만으로 CES 2024에서 국내 우주기업 최초로 '모두를 위한 인간 안보(Human Security for All)' 분야 혁신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 밖에 텔레픽스는 위성 촬영 영상으로 각국 주요 항만에 원자재가 얼마나 쌓여 있는지를 분석해 월스트리트 등 증권가에 원자재 선물 거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도 제공 중이다. 이달 중순에는 위성영상을 실시간으로 인공지능(AI)이 분석하는 일종의 미니 PC인 '테트라플렉스'가 탑재된 위성 발사도 앞두고 있다. 조 대표는 "원래 인공위성에서 영상을 촬영하면 분석 결과가 나오기까지 10시간 이상 걸렸지만, 테트라플렉스를 탑재하면 AI가 자체 분석한 영상을 30분 이내에 받을 수 있다"며 "미국 기업보다도 수개월 앞선 성과"라고 말했다.

조 대표는 한국 우주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당부했다. 그는 "한국도 신설된 우주항공청을 중심으로 국내 우주기업들의 수출 실적에 맞춰 R&D 비용을 매칭 형태로 지원하는 방안이 나왔으면 한다"고 말했다.

[정지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