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27억명이 인터넷 접속조차 못해…맞춤형 기술·정책 지원 필요"
한국인 최초 부총재 선임 의의…"韓의 디지털 역량·선진국 도약 경험 덕"
[서울=뉴시스] 김상부 세계은행 디지털전환 부총재(오른쪽)와 엄열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이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 참석했다. 디지털전환 부총재는 최근 신설된 직위다. 우리나라는 1955년 세계은행 가입 후 처음으로 부총재급 인물을 배출했다. (사진=심지혜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AI(인공지능) 시대가 도래했음에도 인터넷 접속조차 제대로 되지 않는 저소득 국가들도 적지 않습니다. 그들에 맞는 기술과 정책 지원도 함께 이뤄져야 합니다. 저소득 국가들도 AI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비롯해 많은 도전들을 직면하게 될 겁니다."
한국인 최초로 세계은행(WB) 최고위급에 선임된 김상부 세계은행 디지털전환 부총재 내정자는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기자 간담회에서 향후 계획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김 부총재는 이번에 세계은행에서 신설된 디지털전환 부총재직의 역할을 두고 "디지털 자체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경제·교육·금융·보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빠른 혁신을 이룰 수 있게 하고, 저개발국들이 좀더 빠르게 중위·상위권으로 도약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부총재는 현재 전세계에서 27억명이 인터넷에 접속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저소득 국가의 경우 인터넷이 가능하다 해도 약 5% 인구만이 10Mbps(초당 1.25MB) 수준의 속도를 쓸 수 있고, 나머지 95%는 그 조차도 안될 정도로 느린 속도로 접속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에 대해서는 "이런 모든 것들이 많은 도전으로 다가오고 있다. 특히 AI 시대에 접어들며 저소득 국가들도 AI 혜택을 어떻게 누리게 할 것인가 등이 어려운 숙제가 될 것"이라며 "저소득 국가들도 AI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다양한 기술·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김 부총재는 저소득 국가에서도 활용이 가능한 수준의 인프라 등이 개발·구축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선진국에서 운영 가능한 '풀 스펙' 수준의 AI 기술이나 데이터센터를 당장 도입하기는 어려운 만큼 맞춤형 데이터센터·디바이스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 부총재는 "조금이라도 저소득 국가들이 소외되지 않고 AI 혜택을 누리려면 그에 맞는 기술과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며 "다양한 금융·재정 지원을 통해 저소득 국가들이 빠르게 시장을 창출해나가는 데 집중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김 부총재는 이른바 개발도상국을 비롯한 중위 국가·저소득 국가의 디지털·경제 개발을 위해 세계은행이 적극적인 금융 원조를 추진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 김 부총재는 한국인 최초로 세계은행 최고위직에 선임된 의의에 대해서는 그간 우리 정부가 이뤄온 디지털 전환의 노하우, 노력 등이 높게 평가된 것이라고 자평했다.
이를 두고는 "부총재직으로서 여러 국가 정부·기업들과 협력하게 될 것이다. 그 중에서도 한국이 중요한건 우리나라가 많은 디지털 개발의 경험·역사를 갖고 있기 때문이고, 제가 한국인으로 부총재 선정된 것도 그 때문이라고 생각한다"며 "그간 우리 정부와 기업이 구축해왔던 전자정부·디지털 데이터센터 구축·AI 등의 여러 노하우와 노력들이 더 필요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우리나라가 빈곤국에서 선진국으로 도약한 경험을 가진 나라라는 점도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김 부총재에 따르면 세계은행 보고서에서 1990년대 1인당 국민 소득이 1000~4500달러 수준의 중위권 국가 142개국 중 현재 1만달러 초중반대 이상으로 성장한 국가는 한국을 비롯한 34개국 뿐이다. 그중에서도 한국이 선진국 도약의 대표 사례로 여겨지고 있다.
김 부총재는 "제 개인적으로 봐도 조부모·부친께서 6·25 전쟁 때 북에서 내려오셨고, 저희 가족과 나라가 빈곤에서 더 풍요로워지는 길로 나아온 걸 봐왔다"며 "그만큼 이 자리가 영광스럽고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 많은 인류들이 혜택을 나누고 우리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김 부총재는 오는 9월3일부터 세계은행 부총재직 업무를 공식 시작하게 된다. 임기의 경우 중장기적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수년 이상 보장될 전망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hsyhs@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