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실적 발표 테슬라 12%·알파벳 5% ↓
S&P500·나스닥, 2022년 이래 낙폭 최대
'AI 열풍' 올라탄 기술주 랠리 붕괴 우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04.22포인트(1.25%) 내린 3만9853.87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128.61포인트(2.31%) 하락한 5427.13으로 거래를 마쳐 2022년 12월 이후 일간 기준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654.94포인트(3.64%) 폭락한 1만7342.41에 장을 마쳤다. 2022년 10월 이후 최대 일일 하락폭이다.
대형 기술주 투매가 증시 급락으로 이어졌다. 알파벳은 5.03% 급락했고, 테슬라는 12.33% 폭락했다. 전날 공개된 실적이 높아질 대로 높아진 주가를 정당화하지 못했다는 투자자들의 실망감이 반영됐다. 알파벳은 2분기 매출이 847억달러, 주당순이익(EPS)이 1.89달러로 모두 시장 예상치(각각 842억달러·1.84달러)를 웃돌았으나 유튜브 광고 매출이 기대를 밑돌았다. 테슬라는 2분기 매출 255억달러, EPS 0.52달러를 기록했는데 EPS가 전망치(매출 248억달러·EPS 0.62달러)를 하회했다.
빅테크 2곳의 실망스러운 실적은 AI 열풍으로 상반기 랠리를 펼쳐 온 기술주 밸류에이션 부담에 대한 우려를 가중시켰다. 이에 다른 기술주도 일제히 약세를 나타냈다. 애플은 2.88% 하락했고 마이크로소프트(MS)와 엔비디아는 각각 3.59%, 6.8% 급락했다.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는 5.61%, 아마존은 2.99% 떨어졌다.
더 부크 리포트의 피터 부크버는 "투자자들이 마침내 AI 비용에 눈을 뜨고 있다"며 "지금은 AI가 매출 창출보다는 비용에 더 가깝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앞서 빅테크 매수 흐름이 지나치게 과열됐고 투자자들의 실적 눈높이가 올라갔다는 점도 이날 조정의 원인으로 분석됐다.
골드만삭스의 스콧 루브너 스페셜리스트는 "지구에서 가장 중요한 기업들의 실적에 대한 기준이 너무 높다"며 "수익과 실적 전망은 반드시 좋아야만 한다"고 말했다.
투자자들은 다음 주 공개될 MS와 애플 등 다른 매그니피센트7 기업 실적에 따라 향후 전반적인 증시 흐름이 좌우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S&P500 기업 중 25% 이상이 2분기 실적을 발표했고 이 중 80% 이상이 전망치를 넘어선 실적을 내놨다. 하지만 전체 이익에서 대형 기술주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점에서 빅테크 실적이 중요하다.
시장은 이날 공개된 미국 제조업 경기 지표도 주목했다. S&P 글로벌에 따르면 7월 미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5를 기록했다. 50을 밑돌면 '위축', 50을 웃돌면 '확장' 국면을 의미하는데, 6월 51.6에서 2.1포인트 하락하며 한 달 만에 제조업 경기가 위축 국면으로 전환했다.
이제 투자자들의 시선은 25일 나올 올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속보치, 26일 공개될 6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로 향하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중시하는 근원 PCE 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1% 상승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2분기 근원 PCE 물가 상승률은 Fed 목표치인 2%를 밑돌았을 것으로 보인다. 2분기 GDP 성장률은 전기 대비 연율 1.9%로 예상돼 연착륙 기대감에 더욱 무게가 실릴 전망이다.
시장은 오는 9월 금리 인하를 확신하는 분위기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날 연방기금 금리선물 시장은 Fed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이상 내릴 가능성을 100% 반영하고 있다.
미 국채 금리 움직임은 2년물과 10년물이 엇갈리고 있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1bp(1bp=0.01%포인트) 내린 4.42%, 글로벌 채권금리 벤치마크인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4bp 오른 4.28%를 기록 중이다.
국제유가는 상승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63달러(0.8%) 오른 배럴당 77.59달러, 글로벌 원유 가격 벤치마크인 브렌트유는 0.7달러(0.9%) 상승한 81.71달러에 마감했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