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홍콩 국제공항
전 세계를 덮친 마이크로소프트(MS) 클라우드발 '정보기술(IT) 대란'이 중국과 러시아의 인프라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0일(현지시간) 업계 소식통과 소셜미디어 게시물 등을 근거로 세계적인 MS발 'IT 대란'에도 불구하고 중국 항공사와 국제공항, 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 등 중국의 주요 인프라는 중단 사태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중국의 공공 서비스는 대체로 영향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MS의 중국 웹사이트와 소셜미디어 계정은 아무런 비상 공지도 띄우지 않았습니다.
그런데도 중국이 이번 사태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었던 데는 MS와 같은 외국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SCMP는 짚었습니다.
중국은 최근 몇 년간 정부 부처와 주요 인프라 운영 주체를 대상으로 외국 하드웨어와 시스템을 국내 하드웨어와 시스템으로 교체하기 위한 캠페인을 전개해 왔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 국영기업을 감독하는 국유자산 감독관리위원회(SASAC)는 지난 2022년 9월 극비 문건을 통해 미국 등 해외 소프트웨어를 중국 업체 제품으로 교체하라는 지시를 내린 바 있습니다.
한 중국 정부 직원은 중국에서 이번 사태의 영향이 미미한 것에 대해, "중국이 안전하고 제어 가능한 컴퓨팅 시스템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진전을 이뤘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이현식 D콘텐츠 제작위원 hyunsik@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