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AI기업 황금 캘때 우린 곡괭이 팔 것”…최태원, 대한상의 제주포럼 참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한상의 제주포럼 ‘AI 대담’

“이후에는 AI 수익화 성공 여부가 관건”

네이버 최수연 “국가별 소버린 AI 중요”

동아일보

19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대한상공회의소 제주 포럼’에서 최태원 대한상의 및 SK그룹 회장(오른쪽)과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AI 시대, 우리 기업의 도전과 미래 비전’을 주제로 대담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3년 내 엔비디아의 적수는 없어 무너지지 않을 것입니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및 SK그룹 회장은 19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대한상의 제주포럼에서 이 같이 말했다. ‘AI 반도체 1위인 엔비디아가 언제까지 승승장구할 것으로 보이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이다. 최 회장은 “누군가 칩을 비슷하게 만들어도 그 하드웨어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를 한순간에 (잘) 만들 방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다만 “그 이후에는 AI로 기업들이 돈을 버는지가 관건”이라며 “사람들이 AI 서비스에 대해 돈을 지불해야 하는데 (수익모델이) 잘 안 되면 다른 종류의 AI 칩이 필요해 엔비디아의 장점이 무너질 공산이 크다”고 내다봤다. 기업들이 AI로 수익화에 성공한다면 계속해서 비싸더라도 성능이 좋은 엔비디아 칩을 쓰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더 싸고 가성비 좋은 칩에 대한 수요가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최 회장은 또 AI 산업을 과거 ‘골드러시’에 비유하며 “SK나 엔비디아같은 반도체 회사는 금을 캐는 AI 기업들을 위한 청바지, 곡괭이를 팔아 돈을 버는 것”이라며 “네이버 등 AI 기업들이 적은 비용으로 금을 캐게 하는 게 우리의 기본 전략”이라고 했다. 최 회장은 그러면서 “AI라는 금광 사업은 대한민국 혼자하기 어려운 글로벌 전쟁”이라며 “승리하려면 우군이 필요하고 미국이든, 일본이든 역량이 되는 파트너를 찾아 다양한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과 함께 대담한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소버린 AI(AI 주권)를 강조했다. 최 대표는 “제주도 맛집을 찾으면 모두 (원하는 결과가) 다르듯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 맞는 국가별 AI가 필요하다고 본다”며 “네이버는 자국어 중심 모델을 개발했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세계 여러 나라들이 소버린 AI를 확보할 수 있게 지원하고자 한다”고 했다.

최 대표는 “중요한 건 혼자 할 수 없기 때문에 범한국 협력모델을 잘 구축하는 게 AI 시대 우리가 경쟁에서 이기는 길이라고 생각한다”며 “AI 인프라, 데이터,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서 공통된 목표를 가진 기업들과 함께 글로벌 소버린 AI 생태계를 확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진 질의응답 세션에서는 ‘중소기업은 AI를 어떻게 도입해야 하는지 막막하다. 무엇부터 해야 하냐’는 질문이 주로 나왔다. 이에 대해 최 회장은 “할 수 있는 사람을 데려와서 ‘네가 하세요’라고 시키는 게 최고”라며 “내 고민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고민으로 만들라”고 조언했다. 최 회장은 “AI는 지금이 시작”이라며 “작다, 크다의 문제가 아니라 내가 빠르게 가면 승자가 되는 것”이라고 했다.

최 회장은 이어 “그렇다고 AI 전문가를 데려올 생각을 하지 말라”며 “전문가한테 기업 비즈니스를 (처음부터) 가르치는 게 더 힘들기 때문”이라고 했다. 오히려 회사 안에서 AI에 관심이 큰 직원을 골라 성과급 등 동기부여를 주고 해법을 찾도록 유도하라는 조언이다.

최 대표는 같은 질문에 “가벼운 AI를 먼저 활용해보는 방법이 있다”고 조언했다. 최 대표는 “회의록을 대신 작성해주는 ‘클로바 노트’를 써볼 수도 있고 ‘(네이버)웍스’라고 (직원간) 협업을 더 잘할 수 있도록 돕는 툴(도구)도 있다”며 “AI를 기술 트렌드라고만 생각하지 말고 현장에서 어떤 밸류체인(가치사슬)을 만들 수 있을지 계속 고민해야 한다”라고 했다.

서귀포=박현익 기자 beepark@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