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런 지하차도 침수 사고를 막기 위해서 정부는 위험 지역에서는 차량의 진입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시설을 만들겠다고 했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그런 시설이 없는 곳이 많고, 또 일부 지하차도에 설치되고 있는 비상 사다리들도 기준이 없다 보니까 제대로 만든 건지도 확인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계속해서 배성재 기자입니다.
<기자>
오송 참사 3년 전인 2020년 7월 23일.
부산 동구 초량1지하차도가 순식간에 침수돼 차량 운전자 등 3명이 숨졌습니다.
하지만 14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오송 지하차도에는 차단 시설은 없었습니다.
오송 참사 후에도 차단 시설 의무화 등 비슷한 대책이 반복됐습니다.
지금은 어떨지 지하차도들을 확인해 봤습니다.
보시다시피 하천과 거리가 가까워서 국토교통부의 '자동 진입 차단 시설' 설치 대상에 이름을 올렸지만, 7월 중순이 지난 지금 도로 어디에도 시설은 설치되지 않았습니다.
수원에 있는 하천 옆 지하차도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국토부 소관 지하차도 42곳 중 28곳이 차단 시설이 아직 없습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 : 올해 설치해야 하는 게 지자체까지 합하면 한 200여 개 되거든요. (부품 수급을) 감당을 할 수 있을까에 대한 의문은 약간은 있습니다만….]
참사 후 지하차도 곳곳에 설치하고 있는 비상사다리도 설치 지침이나 기준이 없다 보니 장소마다 중구난방입니다.
[공하성/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기준조차 없다고 하면 이것이 제대로 시공이 이루어졌는지 제대로 설계는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길이 없다는 것이죠.]
(영상취재 : 윤형·이상학, 영상편집 : 이상민)
배성재 기자 ship@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런 지하차도 침수 사고를 막기 위해서 정부는 위험 지역에서는 차량의 진입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시설을 만들겠다고 했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그런 시설이 없는 곳이 많고, 또 일부 지하차도에 설치되고 있는 비상 사다리들도 기준이 없다 보니까 제대로 만든 건지도 확인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계속해서 배성재 기자입니다.
<기자>
오송 참사 3년 전인 2020년 7월 23일.
부산 동구 초량1지하차도가 순식간에 침수돼 차량 운전자 등 3명이 숨졌습니다.
사고 직후 정부는 부랴부랴 '자동 진입 차단 시설' 구축 등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14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오송 지하차도에는 차단 시설은 없었습니다.
오송 참사 후에도 차단 시설 의무화 등 비슷한 대책이 반복됐습니다.
지금은 어떨지 지하차도들을 확인해 봤습니다.
이곳은 경기 의정부의 한 지하차도 입구입니다.
보시다시피 하천과 거리가 가까워서 국토교통부의 '자동 진입 차단 시설' 설치 대상에 이름을 올렸지만, 7월 중순이 지난 지금 도로 어디에도 시설은 설치되지 않았습니다.
수원에 있는 하천 옆 지하차도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국토부 소관 지하차도 42곳 중 28곳이 차단 시설이 아직 없습니다.
국토부는 다음 달까지 자동 진입 차단 시설을 모두 설치하겠다는 계획이지만, 계획대로 될지는 미지수입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 : 올해 설치해야 하는 게 지자체까지 합하면 한 200여 개 되거든요. (부품 수급을) 감당을 할 수 있을까에 대한 의문은 약간은 있습니다만….]
참사 후 지하차도 곳곳에 설치하고 있는 비상사다리도 설치 지침이나 기준이 없다 보니 장소마다 중구난방입니다.
[공하성/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기준조차 없다고 하면 이것이 제대로 시공이 이루어졌는지 제대로 설계는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길이 없다는 것이죠.]
국토부는 비상사다리 설치 지침에 관한 용역사업 등을 거쳐, 올해 내로 관련 지침을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윤형·이상학, 영상편집 : 이상민)
배성재 기자 ship@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