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선거의 해’ 맞아 혼란 빠진 세계증시···“초당적 지지·고립주의 섹터 주목하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 재선 가능성에 정치적 혼조세 커지자
대선 결과 영향없이 우상향하는 ETF 고공행진

포퓰리즘 세력 득세하는 각국 선거결과 고려시
정파 무관한 AI·인프라·인도 소비재 주목
군비 경쟁 수혜받을 국내 방산주도 관심


매일경제

<그림=챗GPT>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세계 주요국 선거에서 의외의 결과가 잇따르면서 세계증시가 혼란에 빠진 가운데, 특정 후보의 당선에 따른 수혜주가 아니라 초당적으로 지지받는 기술과 ‘고립주의’ 리더의 득세에 맞춘 사업군에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11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와 나스닥에 따르면 정치적 중립 테마 종목으로 분류되는 YALL(God Bless America ETF)은 지난 10일 종가 기준으로 연초대비 21.31% 상승했다.

이는 대표적인 민주당 테마 ETF인 DEMZ(Democratic Large Cap Core ETF)의 19.63%와 공화당 테마 KRUZ(Unusual Whales Subversive Republican Trading ETF)의 9.93%를 뛰어넘은 것이다.

오는 11월 대선을 앞둔 미국에서는 조 바이든 현직 대통령의 잇다른 실언이 쏟아지고 건강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도날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미 시장에서는 트럼프 당선시 지금의 친환경 정책이 축소될 것이란 우려가 반영돼 신재생에너지 관련주의 약세가 이어지는 형국이다.

이런 상황에서 YALL이 상대적인 강세를 보이는 것은 대선 결과와 별다른 연관없이 상승 가능한 주식에 투자했기 때문이라는게 증권가의 분석이다.

실제 YALL의 구성종목에는 엔비디아, 테슬라, 브로드컴 같은 첨단기업과 글로벌 대표 빅파마인 암젠, 내수주 코스트코, 미국 최대 증권사 찰스 슈왑 등이 골고루 담겨있다.

미국에서 나타난 ‘중립 테마’의 강세는 올해 충격적인 권력교체를 겪은 다른 글로벌 지역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날 전망이다.

상상인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최근 총선으로 14년만에 보수당에서 노동당으로 정권이 교체된 영국에서는 공공투자 중심의 경제성장 촉진책을 내건 키어 스타머 내각의 출범으로 재정 건전성이 악화되고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프랑스 역시 총선 결과 제1당으로 등극한 좌익 신민중전선(NFP)의 대대적인 복지확대와 친이민 정책 드라이브 탓에 대규모 재정적자가 나타날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란 대선에서는 후보 6명 중 유일한 개혁 성향 후보였던 마수드 페제시키안이 당선됐다. 서방과의 관계개선과 핵합의 복원을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국회에서의 여소야대 상황과 이란 특유의 신정 체제를 고려하면 당초 공언한 개혁 정책을 제대로 펼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각국에서 커지는 정치적 불확실성은 한국 증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정치적인 불안감이 확산되면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심리가 위축되고, 현재 코스피 상승장을 이끄는 국내 주요 기업들의 수출 회복세도 둔화되면서 또다시 ‘박스피’에 갇힐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어서다.

최근 선거 결과와 관련해 황준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포퓰리즘 세력이 공통적으로 내세우는 고립주의, 자국 우선주의, 확장적 재정정책 영향으로 둔화되던 인플레이션 및 금리 상승세가 재개될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정치적 수혜 테마보다는 초당적으로 지지받을 수 있는 테마에 주목할 필요성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정파와 상관없이 자금이 몰리는 인공지능(AI)과 반도체가 대표적이다. 여기에 B2B 수요 급등으로 수혜를 맞은 전력 등 인프라스트럭처, 인도 경제성장에 맞춰 우상향중인 인도 소비재 관련 섹터가 글로벌 증시에서의 추천 테마로 꼽혔다.

국내에서는 최근 다시 상승 사이클 맞은 반도체, 고립주의 정권 득세로 군비 경쟁이 커짐에 따라 수혜주로 꼽히는 방위산업에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