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7 (일)

한반도 여름철 폭염, 2030년대부터 '새로운 일상' 이 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온실가스 저감 등 기후변화 완화 노력 기울이면 예방 가능"

광주과기원-유타주립대 공동연구팀, 21세기 기후변화 분석

뉴스1

GIST 윤진호 교수, 류지훈 박사과정생(왼쪽부터)(지스트 제공)/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광주=뉴스1) 조영석 기자 = "지구 온난화가 전 세계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한국은 언제부터 일상화된 폭염에 맞닥뜨리게 될까?"

한-미 국제공동연구팀이 '출현 시점(TOE)' 기법을 활용하여 한반도 여름철 기온 전망을 제시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출현 시점(Time of Emergence)은 인위적 요인으로 인한 기후 변화가 자연적인 기후의 변동성을 넘어서는 시점을 의미한다. 이 시점을 넘어서면 기후가 과거의 평균을 벗어나 '새로운 일상(New Normal)'이 될 수 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지구·환경공학부 윤진호 교수가 주도한 국제공동연구팀이 '제6차 기후 모델 미래 전망 데이터(CMIP6)'를 분석한 결과 2030년대 이후 한반도 여름철 평균 온도의 추세가 자연 기후 변동성을 넘어선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한반도의 여름철 온도가 매년 평년보다 더운, 즉 폭염이 일상화된 '뉴 노멀'시대에 진입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기상청이 지난 5월 발표한 올해 여름철 기온에 대한 장기 전망에 따르면 7월과 8월의 월 평균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은 각각 40%와 50%로 전망됐다. 반면 평년보다 낮을 확률은 20%로 예측됐다.

따라서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한반도 여름철 기온이 새로운 일상에 도달하는 상황을 미리 전망하고 기후 위기에 대비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팀은 한반도 여름철 기온은 여전히 자연변동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2030년대 이후부터는 여름철 기온이 지금까지의 평년보다 항상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나라의 여름철 기온이 새로운 일상에 도달한다는 예측이다.

그러나 연구팀은 기후변화 완화 노력이 고려된 미래 시나리오(SSP2-4.5)에서는 새로운 일상에 도달하는 시점이 2040년대 중반 이후로 늦춰지는 등 다양한 방법론에 따라 새로운 일상에 도달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윤진호 교수는 "우리 연구의 출현 시점은 인위적 요인에 의한 기후 변화가 현재 상태를 벗어나는 미래 시점을 제공한다"며 "이러한 시점을 예측하는 것은 온실가스 저감 등 한반도에 닥칠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GIST 지구·환경공학부 윤진호 교수와 류지훈 박사과정생이 주도하고 美 유타주립대학교 Shih-Yu(Simon) Wang 교수가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기상학 분야의 국제 저명학술지인 '기후 변화(Climatic Change)' 온라인에 6월 27일 게재됐다.

kanjoy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