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성 지원은 큰 도움 안 돼"
배달료 지원에 "플랫폼 배 불려" 지적도
[앵커]
오늘(3일) 나온 소상공인 맞춤 대책, 자영업자들은 어떻게 봤을까요. 정부가 전기요금과 대출이자, 심지어 배달료까지 내주겠다고 했는데 현장에서는 아쉽다는 반응도 나옵니다.
공다솜 기자입니다.
[기자]
김현기 씨 부부는 평생 자영업자로 일해왔습니다.
[노해선/서울 홍은동 : 40년 가까이 돼요. 고깃집하고 분식점하고 치킨집하고 또다시 고깃집하고. 지금이 너무 힘들어요.]
낮아진 신용도로 초고금리의 개인사채까지 받았습니다.
[김현기/서울 홍은동 : 4금융권은 이미 손대고 있는 상황이고. (이자율이) 20%대라고 보시면 돼요. 일수도 써본 적도 있고.]
오늘 정부 대책은 어려운 소상공인이 재기할 수 있게 돕겠다는 게 핵심입니다.
또 연 7% 넘는 고금리 대출은 최대 5천만원까지 4.5% 금리로 갈아탈 수 있게 됐습니다.
폐업할 돈이 없어 버티고 있는 자영업자를 위해선 내년부터 철거비를 최대 400만원까지 늘리고, 20만원 전기료 지원도 연 매출 6천만원 이하까지 확대합니다.
다만 당장 생업을 포기하기 어려운 자영업자들은 구조적 어려움이 단번에 해결되긴 어려울 거라고 말합니다.
정부는 내년 중 영세 자영업자를 위한 배달료 지원책도 내놓기로 했는데 한편에선 배달 플랫폼 배만 불린단 목소리도 있습니다.
[최상목/경제부총리 : 원래 시장에 맡기는 게 맞죠. (배달 플랫폼의) 가격 결정에 불공정 행위가 없는지에 대해서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한 번 점검…]
전문가들은 일회성 지원보단 양질의 일자리나 연금 등의 안전망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공다솜 기자 , 황현우, 이지훈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오늘(3일) 나온 소상공인 맞춤 대책, 자영업자들은 어떻게 봤을까요. 정부가 전기요금과 대출이자, 심지어 배달료까지 내주겠다고 했는데 현장에서는 아쉽다는 반응도 나옵니다.
공다솜 기자입니다.
[기자]
김현기 씨 부부는 평생 자영업자로 일해왔습니다.
[노해선/서울 홍은동 : 40년 가까이 돼요. 고깃집하고 분식점하고 치킨집하고 또다시 고깃집하고. 지금이 너무 힘들어요.]
코로나를 겪고, 업종을 바꾸며 진 빚만 1억 가까이 됩니다.
낮아진 신용도로 초고금리의 개인사채까지 받았습니다.
[김현기/서울 홍은동 : 4금융권은 이미 손대고 있는 상황이고. (이자율이) 20%대라고 보시면 돼요. 일수도 써본 적도 있고.]
오늘 정부 대책은 어려운 소상공인이 재기할 수 있게 돕겠다는 게 핵심입니다.
정책자금 대출을 연장해주는 조건은 아예 없애버리고 연장 기간도 5년까지 확대합니다.
또 연 7% 넘는 고금리 대출은 최대 5천만원까지 4.5% 금리로 갈아탈 수 있게 됐습니다.
폐업할 돈이 없어 버티고 있는 자영업자를 위해선 내년부터 철거비를 최대 400만원까지 늘리고, 20만원 전기료 지원도 연 매출 6천만원 이하까지 확대합니다.
다만 당장 생업을 포기하기 어려운 자영업자들은 구조적 어려움이 단번에 해결되긴 어려울 거라고 말합니다.
[김현기/서울 홍은동 : 접고 싶어도 못 접는 거예요. 가게를. 한 달에 전기세가 많이 나오면 70만~80만원 나오는데 (지원 금액이) 턱도 없는 거예요. 현금성 지원은 소상공인들에게는 그렇게 큰 도움이 안 돼요.]
정부는 내년 중 영세 자영업자를 위한 배달료 지원책도 내놓기로 했는데 한편에선 배달 플랫폼 배만 불린단 목소리도 있습니다.
[최상목/경제부총리 : 원래 시장에 맡기는 게 맞죠. (배달 플랫폼의) 가격 결정에 불공정 행위가 없는지에 대해서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한 번 점검…]
전문가들은 일회성 지원보단 양질의 일자리나 연금 등의 안전망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영상디자인 신하림]
공다솜 기자 , 황현우, 이지훈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