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엔씨 윤송이 "AI, 인간의 창의성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용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외 석학 등 250여명 참석

파이낸셜뉴스

윤송이 NC문화재단 이사장이 지난 27일부터 진행된 'FAIR AI 2024’ 컨퍼런스에서 강연을 하고 있다. NC문화재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NC문화재단 윤송이 이사장은 “인공지능(AI)을 지혜롭게 활용하기 위해선 인간의 창의성이 중요하다”며 “AI는 인간의 창의성을 위협하는 것이 아닌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28일 NC문화재단에 따르면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개최한 ‘FAIR AI 2024’ 컨퍼런스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지난 6월 27일~28일 양일간 개최된 행사에는 AI 연구자, 개발자, 교육자 등 인공지능 관련자 2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AI 기술의 올바른 개발과 사용을 위해 필수적인 ‘AI 윤리’를 집중적으로 다뤘다.

컨퍼런스 첫 날은 윤송이 이사장의 환영사와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의 축사에 이어 연사들의 기조강연이 진행됐다. 이어 연단에 선 아구스틴 라요 MIT 인문예술사회과학대학장은 “AI의 발전 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지금 행동해야만 한다”며 “MIT는 기술적인 면 뿐만 아니라 경제, 정치, 사회, 윤리적 측면도 깊게 이해할 수 있는 공학자를 양성하는 것에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후 강연은 △초거대 생성 AI 시대의 AI 안정성과 책임성(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 이노베이션 센터장) △인간의 창의성과 AI의 창의성(오카 미즈키 쓰쿠바대 교수)을 주제로 이어졌다.

오후 발제 세션에는 △국방 분야의 책임 있는 AI 구현을 위한 윤리적 과제(윤정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부연구위원) △AI 윤리와 관련된 법적 이슈와 과제(이숙연 특허법원 판사) △헬스케어 분야 AI 활용을 통한 물리적·디지털 격차 해소(케이시 베넷 드폴대 교수) △국내 AI 윤리 정책의 현황 및 과제(문정욱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실장) 등 특정 분야의 AI 윤리 이슈 및 과제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컨퍼런스 둘째날은 컴퓨터 공학과 인문학, 사회과학이 결합된 다학제적 AI 윤리 교육인 ‘임베디드 윤리’에 주목했다. 노유란 NC문화재단 사업팀장이 임베디드 에틱스에 대한 재단의 비전과 방향성을 설명했다. 이후 △인간 중심 AI에 대한 요구(제임스 랜데이 스탠퍼드대 인간중심인공지능연구소 공동소장) △임베디드 에틱스의 현재와 미래(메흐란 사하미 스탠퍼드대 교수)에 대한 기조강연이 이어졌다.

스탠퍼드대에서 인간중심의 인공지능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제임스 랜데이 교수는 “진정한 인간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AI 개발이 사용자 중심, 커뮤니티 중심, 사회 중심이 돼야 한다”며 “디자인, 사회과학, 인문학, 의학이나 법률 영역의 전문가를 포함한 다학제적 팀이 초기부터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후 발제 세션에는 △임베디드 에틱스 실행을 위한 통합 접근 방법(케이슬린 크릴 노스이스턴대 교수) △국내 AI 윤리 교육의 현황과 과제(천현득 서울대 교수)에 대한 강연이 이어졌다. 강연을 마친 연사와 유신 카이스트 교수, 김준하 GIST AI정책전략대학원장, 변순용 서울교육대 교수(좌장)가 참여한 ‘임베디드 에틱스의 국내 도입 방안 및 발전 방향’ 토론을 끝으로 행사는 마무리됐다.

윤 이사장은 "인간과 AI의 균형 있는 공존을 위해서는 AI를 개발하고 사용하는 이해관계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논의가 필요하다"며 "이번 컨퍼런스가 AI 윤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다가오는 AI 시대를 본격적으로 준비하는 기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엔씨소프트

soup@fnnews.com 임수빈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