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중국, 세계 최초 달 뒷면 토양 확보…창어 6호, 샘플 1.9㎏ 채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샘플 보존·처리 후 연구 개시 예정

“국제 사회와 탐사 성과 공유할 것”

경향신문

지난 3일(중국시간) ‘창어 6호’가 달 뒷면의 ‘남극-에이킨 분지’에서 암석을 채취하고 있다. 중국 국가항천국(CNSA)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 최초로 달 뒷면 토양 채취에 성공한 중국 우주탐사선 ‘창어 6호’가 가져온 샘플 양이 당초 목표로 했던 2㎏에 근접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중국 측이 밝혔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 보도에 따르면 장커젠 중국 국가항천국(국가우주국) 국장은 28일 베이징에서 딩츠뱌오 중국과학원 부원장에게 창어 6호 샘플 용기를 전달했다.

신화통신은 “1차 측정 결과 창어 6호가 채집한 달 뒷면 샘플은 1935.3g”이라며 “샘플이 안전하게 달 샘플 실험실로 옮겨진 뒤 지상 응용 시스템 연구진은 계획에 따라 달 샘플을 보존·처리하고 연구를 시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가항천국은 “‘꿈을 좇고 용감하게 탐색하며 협동해 공략하고 협력해 함께 이익을 얻는다’는 달 탐사 정신으로 샘플 관리 업무를 잘 수행하고 중국 달 탐사 과학 성과를 국제 사회와 공유할 것”이라고 전했다.

광명일보는 “인류 최초의 달 뒷면 토양 샘플은 과학적으로 특별한 의의를 갖는다”면서 “달의 진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평화적인 달 자원 탐색 및 활용 속도를 가속화하는 것은 인류 전체의 중요한 자산”이라고 했다.

앞서 중국은 지난 2020년 11월 탐사선 창어 5호를 발사해 총 1731g의 달 앞면 샘플을 채취해왔다. 이 중 78g가량이 40개 기관, 114개 연구팀에 배포돼 주요 저널에 발표된 70여 개의 연구의 토대가 됐고 창어 5호가 가져온 달 토양 입자에서 새로운 광물질인 티타늄 함유 침전 입자를 발견했다는 논문도 발표됐다.

중국 관영매체들은 최근 지린대학과 중국과학원 금속연구소, 국가심우주탐사연구소 등이 창어 5호가 가져온 가로 2.9㎜, 세로 1.6㎜ 크기 달 토양 샘플을 정밀 분석한 결과 달 토양에서 순수 탄소의 한 형태인 ‘그래핀’을 발견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창어 5호에 이어 세계 최초로 달 뒷면 샘플 채취를 목표로 발사된 창어 6호는 53일 동안의 임무를 마치고 지난 25일 지구로 귀환했다.

박은경 기자 yama@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