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한반도 온실가스 농도 또 최고치…지구 평균보다 빠르게 증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상청 지구대기감시보고서…최근 증가세, 과거보다 가팔라져

연합뉴스

세계 폭염 (PG)
[양온하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한반도 온실가스 농도가 다시 최고치를 깼다.

기상청이 28일 공개한 '2023 지구대기감시보고서'에 따르면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 작년 연평균 이산화탄소 배경농도는 427.6ppm으로 관측 이래 가장 높았다.

안면도 감시소는 지난 1999년부터 우리나라에서 가장 길게 연속해서 온실가스 농도를 관측해온 곳이다. 배경농도는 '인간 활동에 영향받지 않은 자연적인 환경에서 측정한 농도'를 말한다.

안면도 감시소 이산화탄소 농도는 1년 새 2.6ppm 높아진 것이다. 제주 고산(2024년 연평균 농도 426.1ppm)과 울릉도(425.6ppm) 감시소 농도는 전년과 비교해 2.6ppm과 2.8ppm 증가했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이 측정한 지난해 연평균 전 지구 이산화탄소 농도는 419.3ppm으로 전년보다 2.8ppm 증가해 역시 관측 이래 최고치에 올랐다.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는 한 번 대기 중에 배출되면 수백 년간 머물기 때문에 최고 농도 경신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연합뉴스

안면도, 고산, 울릉도, 독도와 전 지구 이산화탄소 배경농도.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반도는 북반구에 속해 이산화탄소 농도가 전 지구 평균보다 높다.

한반도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세는 최근 10년(2013~2022) 연평균 2.5ppm으로 과거 10년(2003~2012년·연평균 2.2ppm)보다 가팔라졌다. 전 지구 증가세(2013~2022년·연평균 2.4ppm)보다도 급하다.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약 28배 강한 메탄의 작년 연평균 농도는 안면도, 고산, 울릉도에서 각각 2025ppb, 2003ppb, 2010ppb로 역시 관측 이래 최고였다.

연합뉴스

안면도, 고산, 울릉도와 전 지구 아산화질소 배경농도.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메탄은 온실효과를 크게 일으키지만 대기 체류 기간이 12년 정도로 비교적 짧아 기후변화 완화를 위해 집중적으로 줄여야 하는 온실가스로 꼽힌다.

안면도 감시소 작년 연평균 아산화질소와 육불화황 농도는 338.8ppb와 12.2ppt로 다른 온실가스와 마찬가지로 역대 최고치였다. 아산화질소와 육불화황은 이산화탄소와 비교해 온실효과가 273배와 2만4천300배 강하며 대기 체류 기간은 약 100년과 1천년에 달한다.

온실가스는 증가했지만 '공기 질'은 나아졌다.

안면도 감시소에서 측정한 '에어로졸 광학깊이'(대기 중 에어로졸 때문에 빛이 감쇄되는 정도로 에어로졸양과 비례), 에어로졸 총수 농도, 일산화탄소·질소화합물·이산화황·미세먼지(PM10) 등은 대체로 감소세를 유지했다.

특히 안면도, 고산, 울릉도 감시소에 내린 비와 눈 산성도(pH)는 5.6, 5.06, 5.23으로 '자연적인 깨끗한 비의 산성도'에 가까웠다. 일반적으로 산성도가 5.6~7인 비를 산성비라고 한다.

jylee24@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