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2030년 전 세계 신차 33%는 중국 브랜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 21% 수준
6년 뒤 12%포인트 증가해 33% 전망
남아시아ㆍ동남아시아 점유율 10배↑


이투데이

독일 뮌헨에서 중국 자동차 기업 만리장성자동차(장성기차·GWM) 전시회. 뮌헨(독일)/신화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30년 전 세계에서 판매되는 신차 가운데 33%는 중국 브랜드라는 전망이 나왔다.

27일(현지시간) 포브스와 CNBC 등은 글로벌 컨설팅 업체 알릭스파트너스(AlixPartners)의 글로벌 자동차 시장 전망 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하고 "올해 예상 점유율 21%가 2030년까지 12% 추가 상승할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 보도를 보면 이런 성장세의 상당 부분은 해외에서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 이외 지역 자동차 판매가 올해 300만 대에서 2030년에는 3배 수준인 900만 대로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중국 브랜드가 전 세계 모든 시장에서 성장할 것"이라며 "다만, 차량 안전 기준이 강화되고 중국산 수입 전기차에 100% 관세가 부과되는 미국 등 북미 지역과 일본 등에서는 훨씬 작은 규모의 성장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미국 등 북미 지역에서 중국 자동차 점유율은 1%에서 3%, 한국과 일본 시장을 합친 점유율은 올해 0%에서 1%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그러나 이를 제외한 다른 곳에서는 빠른 성장세가 점쳐진다. 먼저 유럽 점유율이 6%에서 12%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중남미(7%→28%) △중동+아프리카(8%→39%) △남아시아+동남아시아(3%→31%) △러시아(33%→69%) 점유율 상승이 점쳐진다. 아시아 지역의 상승세가 특히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중국 내 자동차 산업 성장과 비야디, 지리, 니오 등 기업들이 급부상하면서 제너럴모터스(GM) 등 기존 자동차 업체들은 최근 몇 년간 중국에서 입지를 크게 잃었다고 진단했다.

알릭스파트너스의 자동차 및 산업 부문 글로벌 공동 리더인 마크 웨이크필드는 "전통적인 자동차 기업들이 중국 자동차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사업 개발 과정과 차량 개발 속도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투데이/김준형 기자 (junior@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