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르포]울릉공항 공사장 활주하는 괭이갈매기…버드 스트라이크 해법 고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울릉 통행 1시간' 울릉공항 공사 한창

괭이갈매기·흑비둘기 서식…항공기 충돌 우려

항공청 "GPS 부착해 고도 및 움직임 관측 중"

결과 따라 항공기 운행 조절하겠다 했지만

버드 스트라이크 발생 감소 효과 의문 여전

뉴시스

[울릉=뉴시스] 25일 경북 울릉군 울릉읍 사동리 일원에는 울릉공항 활주로를 짓는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환경부 공동취재단). 2024.06.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울릉=뉴시스]성소의 기자 = 포항에서 7시간 배를 타고 간 끝에 도착한 울릉도.

크루즈 선착장에서 15분 정도 걸어가니 울릉공항 공사현장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에 다다랐다. 전망대에 오르자 비스듬히 깎인 가두봉 아래로 길게 펼쳐진 활주로가 모습을 드러냈다.

지난 25일 찾은 경북 울릉군 울릉읍 사동리 일원에는 울릉공항 활주로를 짓는 공사가 한창이었다.

최근 가두봉 절취공정 도중 근로자 1명이 사망하는 불미스러운 사고가 벌어지면서 비록 현장 접근은 제한됐지만, 먼 거리에서도 공사장 곳곳에 흩어진 토사물과 건축자재를 바삐 나르는 포크레인을 구경할 수 있었다.

서울과 울릉도 간 통행 거리를 1시간 내로 단축시켜 주는 울릉공항이 이르면 2027년 이후 완성된다.

울릉공항은 사동항 인근에 가두봉 74.9만㎥를 절취하는 등 해안 매립을 통해 50~80인승의 소형항공기가 운행할 수 있는 공항이다.

이 공항을 짓는 데 국비 8050억원이 투입됐으며 2014년에 사업이 시작돼 현재까지 10년 넘게 공사가 진행 중이다.

공사장을 직접 방문해보니 수십, 수백만 여객들을 실어나를 울릉공항의 모습이 얼추 갖춰가는 듯 했다.

울릉공항 박재길 현장소장은 “울릉도의 가치는 다방면에서 기대 이상이지만, 현재 내륙에서 동해 오아시스인 울릉도로 접근할 방법은 안타깝게도 강릉, 후포, 포항 선박밖에 없다”며 “울릉도의 획기적인 이동시간 단축으로 접근성을 개선하고 관광산업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섬을 만들기 위해 공항을 건설 중이다“고 말했다.

뉴시스

[울릉=뉴시스] 25일 괭이갈매기 1마리가 경북 울릉군 일대 상공을 날고 있다. (사진=환경부 공동취재단). 2024.06.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울릉군과 시공사를 비롯해 주민들은 곧 있으면 지어질 울릉공항에 대한 기대감에 부풀어 올라 있지만, 다른 한쪽에서는 공항 건설에 따른 생태계 파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울릉공항 건설 과정에서 괭이갈매기 등 바닷새의 서식지를 훼손하고 항공기와 조류가 충돌하는 '버드 스트라이크(Bird Strike)'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다.

실제로 이날 찾은 울릉도에서는 차가 쌩쌩 달리는 도로나 사람들이 북적거리는 관광지 등 장소를 가리지 않고 상공을 활주하는 괭이갈매기 무리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다.

괭이갈매기들은 사람을 자주 보아온 탓인지 가까이 다가가도 움직이지 않고, 버스가 지나다녀도 익숙하다는 듯 날렵하게 피해 다녔다.

지난해 대구지방환경청이 실시한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조사에 따르면 울릉도와 독도에 서식하는 괭이갈매기는 약 5만 마리다.

뿐만 아니라 공항 사업지와 떨어진 곳에는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2급인 흑비둘기도 서식하고 있다.

울릉도 상공에 항공기가 뜨는 것은 인간에겐 참 좋은 일이나, 흑비둘기나 괭이갈매기에게는 생존 위협이 높아지는 우려스러운 일인 셈이다.

뉴시스

[세종=뉴시스] 위치추적발신기와 가락지를 부착한 괭이갈매기. (사진=국립생물자원관 제공). 2020.05.24.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높은 상공을 활주하는 항공기와 육안으로도 날으는 모습을 볼 수 있는 조류가 어떻게 부딪힐 수 있냐는 의문이 들 수 있지만, 고도가 높은 상공이 아닌 이륙 직후나 착륙 직전인 지상 2.5㎞ 이하의 상공에서 버드 스트라이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지난 2018년 완료된 전략환경영향평가와 2020년 환경영향평가서 본안 협의에서도 이런 우려를 해소할 수 있도록 괭이갈매기 등 바닷새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조류 충돌 저감 방안을 마련하라는 주문이 있었다.

이에 부산항공청 측은 공사기간 동안 흑비둘기와 괭이갈매기에 GPS(실시간 위치 추적 장치) 기기를 부착해 개체들의 고도와 움직임을 시간대별로 관측하겠다고 했고, 지난 2021년부터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괭이갈매기의 경우 분기 1회마다, 번식기인 5~8월에는 월 1회로 주기를 좁혀서 조사 중이며 흑비둘기는 연 1회 주기로 모니터링 중이다.

부산항공청 측은 관측된 자료를 바탕으로 버드 스트라이크가 발생할 수 있는 운항 시간대를 조절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울릉공항 사후환경영향조사를 담당한 김재용 한국환경평가기술 환경평가부 차장은 "몇년동안 모은 데이터를 통해서 비행기와 충돌을 일으킬 수 있는 운항 시간대를 조절한다든지 하는 식으로 조류 충돌을 저감하려고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시스

[울릉=뉴시스] 성소의 기자 = 25일 울릉공항 공사장 조망대에서 괭이갈매기 무리가 휴식을 취하고 있다. 2024. 06.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방안이 실제로 공항 개장에 따른 '버드 스트라이크'를 줄일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물음표가 붙는다.

항공기 운항 시간대를 변경했을 때 조류 충돌 위험을 얼마나 줄일 수 있을지에 대한 별도 연구 자료가 없는 데다 GPS를 부착한 개체 수도 비교적 적기 때문이다.

부산항공청 측에 따르면 관측을 위해 GPS 기기를 부착한 개체 수는 흑비둘기 2마리, 괭이갈매기 4마리로 총 6마리에 불과하다.

지난 2021년 7월 진행된 생태계보전전문가위원회 회의에서도 이 같은 사실이 한차례 지적됐었지만, 부산항공청 측은 명쾌한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환경영향조사 실시내용 및 조사결과 조치 자료를 보면 당시 한 전문위원은 '괭이갈매기 개체 수가 많은데, 4개체 GPS로 사고 위험을 알 수 있냐'고 지적했고 부산항공청 측은 "괭이갈매기는 4개체, 흑비둘기는 2개체에 대해 GPS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고 괭이갈매기의 경우 번식기인 5~8월, 월 1회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고 답했다.

부산항공청 측은 조류 충돌을 예방하기 위해 근처에 서식 중인 조류에 대해 이동경로나 시간대, 고도를 모니터링해서 저감 대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또 매년 조류 관련 전문가 회의를 거쳐 대책을 보완해 나가고 있다는 입장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soy@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