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미 금리차 확대 지속되는 3분기가 고비…"실시간 모니터링으로 대비"
정부가 9월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을 목표로 본격적인 외환시장 개방에 나섰다. 하반기부터 외환 거래시간을 다음날 오전 2시까지 연장하고 국채 투자 활성화를 위한 국채통합계좌·특례 도입 등을 추진한다.
2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다음 달 1일부터 국내 원·달러 외환시장 거래시간이 다음날 새벽 2시까지 연장된다. 한국 주식과 채권 거래를 원하는 외국인 투자자 편의를 제고하겠다는 취지다.
다만 거래시간이 늘어나면서 환율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은 변수다. 특히 한·미 간 기준금리 차가 유지될 것으로 보이는 3분기가 분수령으로 꼽힌다.
한·미 기준금리 차는 지난해 7월부터 2%포인트까지 벌어지면서 환율 시장을 위협하고 있다. 달러당 원화 가치가 장중 1400원 선을 위협하는 일이 반복되는 등 고환율이 '뉴노멀'로 자리 잡았다는 의미다. 이런 상황에서 거래시간이 확대되면 외국 자본에 의해 환율이 오르락내리락하는 일이 지금보다 잦아질 가능성이 높다.
당국으로서는 3분기가 고비다. 외환시장 확대를 본격 시행하는 첫 시기인 동시에 환율에 영향을 줄 변수들이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당장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여부가 불투명하다. 연준은 연내 금리 인하 전망을 기존 3회에서 1회로 축소했고 관계자들도 매파적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
해외시장과 시차 발생에 따른 리스크도 존재한다. 시장이 중요하게 판단하는 소비자물가지수(CPI), 고용지표, 연준 관계자 발언은 대부분 우리 시간으로 야간이나 새벽에 나온다. 파생상품으로 거래되는 현재와 다르게 새벽 2시까지 외부 변수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기재부는 다음 달 시행을 앞두고 모니터링 요원을 배치하고 이번 달에도 네 차례 시범 운영을 통해 사전 대비에 나섰다. 기재부 관계자는 "낮 시간대만큼 인력은 아니지만 새벽에도 모니터링 로테이션을 돌려서 변수에 실시간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야간에도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으면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헤지펀드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헤지펀드가 거래가 비교적 뜸한 야간이나 새벽에 개입해 환차익을 노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해외 자본이 해외외국환업무취급기관(RFI) 심사를 거칠 때 헤지펀드는 들어올 수 없도록 조치를 취했다"며 "헤지펀드가 외환시장에 직접 들어오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부연했다.국채통합계좌·원화거래 특례 도입···유동성↑
정부는 국제예탁결제기구(ICSD)의 국채통합계좌를 대상으로 일시적 원화차입(overdraft)을 허용하는 등 특례를 도입한다. 기재부는 ICSD인 유로클리어와 클리어스트림의 국채통합계좌 개통과 함께 외국인 투자자의 국채 투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원화거래 특례를 도입하기로 했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기존에 거래하던 RFI를 통해 환전한 자금을 ICSD 명의의 계좌로 보낼 수 있게 되면서 환전 비용이 줄어 신규 투자자의 국내 시장 유입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에 거주하지 않는 비거주자의 ICSD를 통한 원화 결제도 허용한다. 국채통합계좌를 이용하는 외국인 투자자가 원화를 통해 국채 매매·환매조건부매매(Repo)·담보제공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해 편의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ICSD를 통한 일시적 원화 차입도 허용해 거래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이번 특례 도입으로 역내·외 시장 등에서 외국인 거래가 늘어 유동성이 커지고 국채 투자가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또 국채시장에 유동성이 높아지면서 적정 가격에 채권을 발행할 수 있어 국채 조달 비용을 낮출 것으로 내다봤다.공매도, WGBI 편입 '걸림돌' 평가···기재부 "영향 작을 것"
이번 조치들로 우리나라가 WGBI에 편입하는 데 한발 다가설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기재부 관계자는 "오는 9월 WGBI 편입이 가능하다고 단언할 수 없지만 이번 제도 개선이 편입을 위한 가장 중요한 인프라일 것"이라며 "정성적인 평가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불러올 수 있는 만큼 WGBI 편입에 초석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관측했다.
관건은 공매도 금지 등 일부 제도적 조치가 편입에 장애물이 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일관적이지 않은 규제를 꺼리는 분위기가 팽배하기 때문이다. 이에 기재부 관계자는 "채권 시장에서 공매도는 분리해서 보는 경향이 있는 만큼 영향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며 "국채도 공매도가 가능하지만 규제를 진행할 만큼 거래 건수가 많지도 않은 상황"이라고 반박했다.
아주경제=김성서 기자 biblekim@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