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세계 정상들 이모저모

케냐 대통령, 유혈사태 부른 증세 법안 거부권…"철회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기자회견에서 재정법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 방침을 밝히는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유혈사태를 촉발한 증세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루토 대통령은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케냐 국민의 커다란 목소리를 경청하겠다"라며 "나는 '재정법안 2024'에 서명하지 않을 것이며 (법안은) 이후 철회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국민이 원하는 것은 세금 인상이 아닌 지출 감축으로 당장 대통령실부터 앞장서겠다"라며 "의회와 법원, 지방정부도 동참해 달라"고 호소했습니다.

이에 따라 재정법안은 루토 대통령이 서명하지 않는 이유를 담은 각서와 함께 의회로 송부되고 의회에서 철회 결의안을 통과시키면 폐기됩니다.

정부는 새 재정법안이 마련될 때까지 다음 달 1일 새 회계연도부터 지난해 재정법안에 근거해 세금을 걷고 지출해야 합니다.

전날 의회에서 가결된 이 법안은 27억 달러(약 3조 7천억 원)의 세금을 추가로 인상하는 대규모 증세를 골자로 합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추가 차관을 받기 위해 재정 적자를 줄여야 하는 케냐 정부는 과중한 부채를 감축한다며 이 법안을 마련했습니다.

케냐는 정부 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의 70%에 해당하는 약 10조 실링(약 108조 원)에 달해 이자에만 세수의 37%를 써야 할 만큼 재정 적자가 심각합니다.

애초 지난달 정부가 의회에 제출할 때 포함됐던 빵에 대한 16%의 부가가치세를 비롯해 식물성 기름 소비세, 설탕 운송 부가가치세, 2.5%의 자동차세, 현지 생산 제품에 대한 환경 부담금 등은 여론의 반대로 제외됐습니다.

전날 케냐 전역에서 Z세대(1990년대 중후반∼2000년대 초반생)가 주도한 시위에서는 경찰의 유혈 진압으로 사상자가 속출했습니다.

나이로비에서는 의회의 재정법안 가결 소식에 일부 시위대가 저지선을 뚫고 의회에 난입하자 경찰이 발포하며 20명 안팎의 사망자가 나왔습니다.

케냐인권위원회는 AFP 통신에 "나이로비에서 19명을 포함해 케냐 전역에서 경찰의 강경 진압으로 22명이 사망했다"고 밝혔습니다.

케냐의사협회는 로이터 통신에 "나이로비에서 경찰 발포로 최소 23명이 숨지고 30명이 총상을 입었다"고 말했습니다.

나이로비의 케냐타국립병원 관계자는 "부상자 160명을 치료 중"이라고 집계했습니다.

루토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사망자가 6명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박찬범 기자 cbcb@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