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26일 자립준비청년의 건강과 교육, 고용 등 자립실태와 지원 욕구를 조사한 ‘2023 자립지원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자립준비청년은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가정위탁 등의 보호를 받다가 만 18세가 되며 보호가 종료된 청년이다. 온라인 설문조사로 실시된 이번 실태조사에는 보호종료 후 5년 이내인 전체 자립준비청년 중 절반 가량인 5032명이 참여했다.
자립준비청년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는 평균 10점 만점에 5.6점으로, 지난 조사(5.3점)보다는 높아졌지만 전체 청년(6.72점)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다. 자립준비청년 중 평생 한 번이라도 자살 생각을 해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46.5%에 달했다. 2020년(50%)보다는 3.5% 포인트 줄어들었으나, 전체 청년(10.5%)보다는 4.4배 많았다.
최근 1년간 심각하게 자살생각을 해 본 적이 있다고 답한 비율도 18.3%나 됐다.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한 주된 이유로는 우울증 등 정신과적 문제가 30.7%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는 경제적 문제(28.7%), 가정생활 문제(12.3%), 학업·취업 문제(7.3%) 순이었다. 자립준비청년은 자살생각이 들 때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도움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친구나 멘토(30.3%), 운동·취미 등 지원(24.7%), 심리상담 지원(11.0%), 정신과 치료지원(9.6%)을 들었다.
보건복지부의 ‘2023 자립지원 실태조사’를 보면 자립준비청년들의 정신 건강은 2020년 조사보다 개선됐으나, 청년 평균보다 낮은 삶의 만족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료|보건복지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고립·은둔을 경험하는 비율도 높았다. 자립준비청년 중 ‘보통 집에 있거나 집(방)밖으로 안 나간다’고 답한 비율은 10.6%로 전체 청년(2.8%)의 약 3.8배였다. 집에 머무른다고 답한 주된 이유는 취업 문제(30.7%), 인간관계 문제(15.2%), 건강 문제(8.1%) 등이었다.
자립준비청년의 주거 환경을 조사한 결과 1인 가구가 69.5%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주거 형태별로는 응답자의 절반 가량(45.3%)이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했다. 그 다음으로 월세(21.2%), 친척 집(6.9%), 전세(5.5%), 기숙사·학사(4.4%) 순으로 나타났다. 자립준비청년은 가장 필요한 주거 지원으로 ‘주거비 지원’(40.2%)을 꼽았고, ‘전세자금 대출’(15.3%), ‘주거상담·정보제공’(11.8%) 등이 뒤를 이었다.
자립준비청년의 대학 진학률은 69.7%로 2020년 조사(62.7%)보다 7%포인트 상승했으나, 한국 고등학교 졸업자 평균 대학 진학률(72.8%)보다는 낮았다. 대학 미진학 이유로는 빨리 취업하고 싶어서(51.2%), 대학에 가야 할 이유가 없어서(14.6%), 경제적으로 어려워서(11.3%), 특별한 계획이 없어서(8.8%) 등을 들었다.
전체 자립준비청년의 월평균 소득은 165만원으로, 2020년(127만원)보다 38만원 늘었다. 월평균 생활비는 108만원이었다.
고용률은 52.4%로 2020년(42.2%)보다 10.2%포인트 상승했지만, 20∼29세 청년 고용률(61.3%)보다는 낮았다. 임금근로자가 95.6%로 대부분이었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직 임금근로자(정규직 또는 1년 이상 고용계약)가 77.6%였고, 임시직(1개월∼1년 미만) 18.0%, 일용직 4.4% 등의 형태로 일하고 있었다. 취업자의 월평균 급여는 212만원(세금 공제 후)으로 2020년(182만원)보다 16.4% 올랐다.
자립준비청년 중 실업자는 15.8%로 2020년(28.2%)보다 줄었지만, 20∼29세 전체 청년 실업률(5.3%)보다는 높았다. 청년들은 취업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일 경험 기회 제공(24.2%), 고용지원금(18.5%), 진로탐색 기회 제공(17.1%), 취업상담·정보(15.5%) 등을 꼽았다.
정부의 자립준비청년 지원 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6점이었다. 보호종료 후 자립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경제적 지원(68.2%), 주거지원(20.2%), 진로상담·취업지원(3.4%), 건강지원(2.5%) 등을 꼽았다.
보건복지부의 ‘2023 자립지원 실태조사’를 보면, 자립준비청년은 보호종료 후 가장 큰 어려움으로 ‘주거 문제’를 꼽았다. 자료|보건복지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혜인 기자 hyei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