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얼마나 더우면’ 링컨 조형물마저 녹아내렸다…美 놀래킨 폭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폭염에 녹아내린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 형상의 밀랍 조형물. [미국 BBC방송 홈페이지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나은정 기자] 미국 북동부를 덮친 폭염으로 현지 초등학교에 설치된 에이브러햄 링컨 전 대통령의 밀랍 조형물이 녹아내리는 일이 발생했다.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지난 2월 워싱턴DC 개리슨 초등학교에 설치된 링컨 전 대통령(1809∼1865)의 밀랍 조형물이 폭염을 견디지 못하고 순식간에 녹아내렸다.

남북전쟁(1861∼1865년)과 그 여파에 대한 관심을 높이려는 취지로 제작된 이 조형물은 링컨 전 대통령이 의자에 걸터앉은 모습을 하고 있다. 높이 6피트(약 1.8m)의 조형물은 그러나 섭씨 35도 안팎의 기온이 며칠째 이어지자 속수무책으로 녹아내리기 시작했다.

이날 아침에는 급기야 머리가 사라지고 왼쪽 다리가 상체에서 분리됐다고 매체는 전했다.

조형물을 제작한 예술가 샌디 윌리엄스 4세는 "주변 온도가 화씨 140도(섭씨 60도)에 이르지 않는 한 조각상이 녹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면서 무더위 때문에 아이스크림 녹듯 조형물이 망가지는 건 상상하지 못했던 일이라고 전했다.

해당 조형물의 설치를 지원했다는 현지 비영리 단체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밀랍 조형물의 형상이 변화하는 것을 의도했지만 이처럼 급격한 변화는 예상치 못했다면서 "이건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헤럴드경제

폭염에 녹아내린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 형상의 밀랍 조형물. [컬처럴 DC 홈페이지 캡처]


최근 미국 북동부와 중서부 지역에선 열돔 현상으로 인해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져 왔다. 미국 기상청(NWS)은 미국 전역에서 약 1500만명이 폭염 경보, 9000만명이 폭염 주의보의 영향권에 놓였다고 밝혔으며, 온열질환 환자도 많이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워싱턴DC를 포함한 미 북동부 지역은 위도가 비교적 높고 녹지 비중이 큰 덕분에 그동안 극심한 더위를 상대적으로 덜 겪었으나, 올해는 기온이 치솟으면서 주민들이 겪는 고충이 남다른 상황이라고 한다. 뉴햄프셔주 맨체스터 등 미 동북부 일부 지역에선 기온이 예년 이맘때보다 섭씨 기준 15도가량 오르기도 했다.

미국뿐만 아니라 지구촌 곳곳에서 폭염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

유럽과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등 곳곳에서 기록적인 초여름 더위로 인한 피해가 잇따랐고, 일부 지역에선 홍수와 우박 등 이상 기후도 보고되는 상황이다.

미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는 이러한 폭염과 홍수, 산불 등 각종 기상 이변은 온실가스 배출 증가로 인한 지구 온난화와 강력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전했다.

betterj@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