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양자기술대축제 '퀀텀 코리아' 개막…11개국 63개 기업 참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 주최, 25~27일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서 진행

머니투데이

25일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 '퀀텀코리아 2024' 행사장 전경 /사진=박건희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선도적 양자과학기술을 전세계 연구자·기업과 공유하는 국제 양자과학기술 축제 '퀀텀코리아 2024'가 25일 개막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퀀텀코리아 2024조직위원회가 공동주최한 이번 행사는 '양자과학기술로 느끼고, 사고하고, 소통하는, 양자로 연결되는 세상'을 주제로 경기 고양시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사흘간 열린다.

전시회에는 △국내 자체 양자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 SDT △양자알고리즘 기업 큐노비 △양자통신 기업 이와이엘·팜캐드 △양자센싱 기업 퀀텀센싱 등을 비롯해 △광양자 방식 양자컴퓨터 기술을 보유한 프랑스 기업 콴델라 △세계적 양자측정장비 기업 취히리인스투르먼트 등 11개국, 63개 기업·기관이 참가해 제품을 선보인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등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도 함께해 연구성과를 공유한다.

권택용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기술연구소 원자양자센싱그룹장은 10년에 걸쳐 개발 중인 '세계 최고수준'의 양자중력계를 선보였다. 그는 "고전 중력계 보다 10배 이상 성능을 높여 전시상황 등 인공위성으로 위치를 측정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중력을 통해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각국 대표단은 개막행사 전에 열린 주제세션 '퀀텀플러스'에서 '양자기술 협력 활성화를 위한 글로벌 대화'를 주제로 각국의 양자기술 육성전략을 소개했다. 26~27일엔 양자와 생명과학, 양자 지원기술, 양자와 인공지능·금융 등 다양한 주제의 세션이 이어질 예정이다.

머니투데이

권택용 KRISS 양자기술연구소 원자양자센싱그룹 그룹장이 '퀀텀 코리아 2024' KRISS 부스에서 양자중력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박건희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통3사, 퀀텀코리아 2024서 양자기술 각축전

머니투데이

25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4 퀀텀코리아에서 참관객이 KT의 무선양자암호통신 기술을 살펴보고 있다./사진=뉴시스 /사진=정병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텔레콤·KT·LG유플러스가 25일 개막한 '퀀텀코리아 2024'에서 양자기술 성과를 전시한다.

SK텔레콤은 36㎡ 넓이의 전시관을 운영하며 '엑스퀀텀'과 국내 양자기술과 제품들을 소개한다. 엑스퀀텀은 SKT가 지난 3월 설립한 연합체로 에스오에스랩·엑스게이트·우리로·케이씨에스·노키아·IDQ코리아 등이 회원사다.

SKT는 비전AI 알고리즘과 양자암호칩을 탑재한 '퀀텀 AI 카메라'를 전시한다. 객체인식과 행동분석 등을 통해 분석·예측을 제공하며 강력한 암호화·보안성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보호하는 제품이다. 케이씨에스와 공동으로 하드웨어 기반 양자난수생성기(QRNG)와 물리적복제방지(PUF), 양자내성암호(PQC) 암호통신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양자암호칩 'Q-HSM'도 선보인다.

에스오에스랩은 SKT와 공동개발한 '양자 라이다(LiDAR)'를 내놓는다. SKT의 자체개발 단일광자(Single Photon) 인식기술과 에스오에스랩의 라이다를 결합한 제품이다. 엑스게이트는 QRNG를 활용해 데이터 송수신 보안성을 강화한 '퀀텀 VPN(가상사설망)'과 '엑스게이트 홈'을 소개한다. 노키아는 스위칭 플랫폼, 우리로·IDQ는 단일광자 관련 기술을 선보인다.

KT는 유무선·하이브리드 양자암호통신 솔루션, 양자암호통신 상용서비스 사례를 준비했다. 전시관 입구에는 국내 최장거리 무선 양자키분배(QKD)를 시연한다. 독자개발한 무선 QKD로 2022년 1㎞, 지난해 2㎞ 구간에서 무선 양자암호를 구현했고, 현재 10㎞ 전송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는 취지다.

QKD와 PQC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양자보안망은 KT의 전시관 중앙에서 볼 수 있다. KT는 서울 중구 신한은행 본점과 강남별관 지점을 연결하는 통신망으로 성능을 검증했다고 밝혔다. 지자체와 군부대의 재난대응 협력을 위한 '퀀텀-드론'과 자율주행차량의 해킹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퀀텀-자율주행차', 산업기밀의 유출을 막기 위한 '퀀텀-VPN', 보안데이터 송수신 관련 '퀀텀-AR(증강현실)글래스'등 고객맞춤형 양자암호통신 서비스도 확인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PQC를 적용한 클라우드용 통합관리계정솔루션 '알파키(Alphakey)'를 이날 공개했다. 클라우드 서비스에 개별적으로 등록된 임직원의 계정정보를 한 곳으로 모아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클라우드 서비스 접근권한 부여, 퇴사직원의 접근제한, 2차인증 등 계정 관련 설정을 지원한다.

알파키를 이용하면 임직원이 1개 아이디로 모든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해외 클라우드 서비스 위주로 연동되는 기존 솔루션들과 달리 국내 서비스도 함께 연동 가능한 점도 특징이다. 모든 기능은 한국어로 제공된다. LG유플러스는 "알파키에 PQC를 적용해 외부공격에 대한 보안을 한층 강화했다"며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2차인증에 PQC가 함께 적용됐기 때문에 계정과 내부정보를 더욱 강력하게 보호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박건희 기자 wissen@mt.co.kr 성시호 기자 shsung@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