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성대의대 교수들도 휴진 유예…"환자와 국민을 위한 결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추후 상황 바뀌면 전면 무기한 휴진 추진…의료붕괴 책임 정부에"

연합뉴스

가톨릭대 의대 교수들도 무기한 휴진 논의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서울대, 연세대 등 의과대학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을 선언하며 의정갈등이 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가톨릭대 등 의대 교수들도 휴진을 논의할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계에 따르면 가톨릭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20일 전체 교수회의를 열어 구체적인 추가 휴진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이동하는 의료진. 2024.6.20 dwise@yna.co.kr


(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기자 = 삼성서울병원, 강북삼성병원, 삼성창원병원 교수들이 속한 성균관의대 교수들이 장기간 휴진 시작을 일단 유예하기로 했다.

성균관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성대의대 비대위)는 25일 총회 후 "지난 20∼24일 진행한 전체 교수 설문조사 결과를 800여명의 교수 중 502명이 응답했고,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일정 기간(일주일 또는 그 이상)의 휴진에 찬성했다"면서도 "환자들과 국민을 위한 고뇌 끝에 일정 기간의 휴진을 시작하는 조치를 일시 유예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하지만 추후 전공의나 학생, 의대 교수에 대한 부당한 처벌, 잘못된 의대 증원 정책과 의료정책을 수정하지 않는 등 상황이 바뀌면 불가피하게 전면적인 무기한 휴진을 추진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성대의대 비대위는 "휴진은 응급실과 중환자실, 투석실 등 중증환자 진료를 유지하면서 연기 가능한 정규 수술, 시술, 외래 진료를 후일로 조정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성대의대 교수들은 휴진 행동을 통해 정부에 ▲ 전공의·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및 처분의 취소 ▲ 필수의료 정책패키지의 쟁점 사안 수정·보완 ▲ 의대 정원 증원안 재논의 ▲ 의대생 8대 요구안 및 전공의 7대 요구안 전면 수용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정부는 하루 속히 잘못된 의대증원 정책과 의료정책을 올바른 방향으

로 선회하고, 전공의와 학생, 의대 교수에 대한 부당한 처벌을 하지 않아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며 "특히 최근 서울의대 교수들에 대한 부당한 경찰 수사를 즉각 중단할 것을 요청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성대의대 비대위의 휴진 유예 결정에는 최근 서울의대 교수들을 시작으로 대한의사협회 등 의료계가 무기한 휴진을 사실상 중단하기로 한 것이 중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성대의대 비대위는 "휴진을 결의하였던 서울대·연세대·울산대 의대 교수들의 휴진 결정을 존중하고 환자들을 걱정해 휴진을 중단하기로 한 서울의대 교수들의 결정 역시 존중한다"며 "휴진 시작을 유예하기로 결정한 가톨릭대 교수 비대위의 결정을 깊이 공감하고 존중한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성모병원 교수 등이 속한 가톨릭대 의과대학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회의를 열고 무기한 휴진을 당분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성대의대 비대위는 휴진 외 여러 대응책으로 ▲ 주 40시간·52시간 근무 준수 ▲ 대학의 편법적 강의 요청 거부 ▲ 주 1회 정례적인 휴진을 통한 교수 번아웃 예방·휴진일에 의료정책 토론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진료 준수 ▲ 보건복지부·교육부 정책 자문 요청에 무대응 등이 제안됐다고 밝혔다.

성대의대 비대위는 "정부의 의료농단과 교육농단으로 인한 의료계 붕괴 현실화가 얼마 남지 않았음을 국민과 환자들께서 알아주셔야 한다"며 "국민께서 강력하게 정부를 질책해달라"고 요청했다.

또 "현시점 심각한 의료 붕괴 위기를 해결해야 할 책임은 온전히 정부에 있음을 밝힌다"며 "부디 정부는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요구사항을 진지하게 검토해 올바른 방향으로 선회하기를 강력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dindong@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