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이태원 참사

김동연, “이태원 참사 반면교사 삼아서 있는 그대로 경기도 대응 상황 국민에게 알려달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동연, 중국 이어 라오스 대사에 사고 수습 과정 설명

희생자 현황, 추가 지원 대책 등 현재 사고 수습 상황 공개 설명


이주노동자 가족 대상, 항공료·체재비·통역비 등 제공

염화수소, 하천수 오염 등 발견 안 돼···2차 피해 예방 대책 마련

경기도청 등 주요 기관에 조기 게양 지시
서울신문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화성시 일차전지 제조업체 화재 발생 2일 차인 25일, 세 번째로 공장 화재 현장을 찾아 소방재난본부장과 함께 언론 브리핑을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화성 공장화재 사고 수습과 관련해 주한 중국대사에 이어 주한 라오스대사 등과 통화해 진행 상황 등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오염수 유출 같은 2차 피해는 현재까지 없고, 사고와 관련된 소방대원과 유가족,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외상후스트레스(PTSD) 장애를 비롯한 심리치료를 돕겠다는 추가 대책도 발표했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25일 오후 화성 화재 현장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런 내용을 담은 사고 발생 후 현재까지의 진행 상황을 설명했다.

김 지사는 “쏭깐 루앙무닌턴 라오스 대사와는 25일 낮 통화가 이뤄졌다”며 “현 사고 수습 상황과 대책에 관해 설명을 해드렸다고 말했다.

앞서 25일 김 지사는 희생 노동자 가족이 한국에 오길 희망하는 경우 항공료와 체재비, 통역사까지 지원해서 끝까지 배려하도록 지시한 바 있다.

김 지사는 현재 사고 수습 진행 상황에 대해서는 희생자가 모두 23명이며 유해는 유전자 검사를 위해 모두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 이송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유전자 검사가 끝나고 유족에게 시신을 인계하면 장례 절차를 밟게 된다고 앞으로 과정에 대해서도 안내했다.

경기도 대책에 대해서는 희생자와 유족 지원을 위한 직원 배치, 합동분향소 설치, 유가족을 위한 휴식 공간 마련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2차 피해와 인근 주민 안전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사고 현장 주변을 측정한 결과 리튬 연소 후에 발생하는 염화수소를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인근 하천 오염수에 대한 1차 측정 결과 역시 오염은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 지사는 “사고 현장이 바다와 1km 정도밖에 안 떨어져 있다. 바다로 향하는 4개 수문을 모두 차단하고 추가 방재를 완료했다. 계속해서 하천, 바다로 향하는 모든 오염의 가능성을 차단하겠다”면서 “인근 주민의 안전 확보를 위해서는 현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신문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화성시 일차전지 제조업체 화재 발생 2일 차인 25일, 공장화재 현장 인근에서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정춘생 국회의원과 함께 화재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경기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주노동자에 대한 근본 대책 마련도 밝혔다. 김 지사는 “지금 이주노동자들이 겪는 가장 큰 애로는 첫 번째 안전 문제, 두 번째 주거 문제, 세 번째 의료 문제, 네 번째 교육 문제다”라며 “이번 사고를 계기로 이주노동자와 다문화가정이 우리 사회 일원으로 차별 없이 살 수 있는 대책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 지사는 경기도청사와 북부청사, 소방본부 등 경기도 주요 기관에 조기 게양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추도 기간이 시작되지 않았지만, 희생자분들의 넋을 기리고 도민들과 함께 명복을 빌기 위해 오늘 아침부터 조기를 게양했다”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날 오전 도청사에서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사고 수습 현황에 대한 적극 공개 방침을 밝혔다. 김 지사는 “이번 사고를 보면서 이태원 참사를 떠올렸다. 당시 정확한 정보나 또는 잘못에 대해 인정하지 않아서 생긴 불신으로 현재 큰 사회적 비용을 치르고 있다”며 “이태원 참사를 반면교사 삼아서 있는 그대로 사실과 정보, 경기도 대응 상황을 투명하게 국민에게 적극 알리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안승순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