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25% 체중감량 목표' 한미약품 차세대 비만藥 전임상 결과 공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미약품이 '근 손실은 최소화하면서도 25% 이상의 체중 감량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차세대 비만 치료제 HM15275의 주요 비임상 연구 결과들이 세계 최대 당뇨병·비만 학회인 미국 당뇨병학회(ADA)에서 공개됐다.

아시아경제

한미약품 R&D센터 연구원들이 미국당뇨병학회(ADA)에서 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 HM15275의 주요 연구 내용이 담긴 포스터를 참석자들에게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한미약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미약품은 지난 21~24일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린 ADA 2024에서 HM15275의 체중 감량 효과 등을 확인한 주요 비임상 연구 결과 4건을 포스터 발표했다고 25일 밝혔다. HM15275는 지난달 미국에서 임상 1상 시험계획을 승인받아 이달 중순 실제 환자 대상 투약을 시작했다.

HM15275는 한미약품의 차세대 지속형 플랫폼 기술인 아실레이션이 적용돼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유사 수용체 외에도 위 억제 펩타이드(GIP), 글루카곤 등 3가지 수용체에 동시 작용하는 삼중 작용제다. 이를 통해 각각의 작용을 최적화함으로써 비만 치료에 특화돼있고, 부수적으로 다양한 대사성 질환에도 효력을 볼 수 있게 설계했다는 설명이다. 현재 세계 비만 치료제 시장을 석권하는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는 GLP-1에만 작용하고, 경쟁 약품인 일라이릴리의 젭바운드는 GLP-1과 GIP에 이중 작용한다.

한미약품은 이번 ADA에서 HM15275가 수술적 요법에 따른 체중감량 효과에 버금가는 효능을 토대로 비만 치료 영역에서 ‘계열 내 최고 신약(Best-in-Class)’이 될 수 있는 잠재력을 확인했다는 설명이다. 위고비와 젭바운드는 15~20% 수준의 체중감량 효과를 임상시험에서 확인하기는 했지만 비만 대사 수술을 통한 25~30% 수준의 감량까지는 미치지 못해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존재한다는 판단이다.

이번 발표된 연구 결과를 통해 HM15275는 비만 쥐 실험에서 투약 3주 차에 쥐의 체중을 39.9% 줄이는 효과를 보였다. 위고비와 젭바운드는 여기서 각각 15.0%, 25.3%의 체중을 감량시켰다. 앞으로 인간 대상 임상을 통해 실제 사람의 감량 효과를 확인해야 하기는 하지만 쥐 실험에서는 기존 치료제들보다 질적, 양적으로 모두 우수한 체중감소 효능을 확인한 것이다. 특히 이 같은 효력은 HM15275의 최적화된 삼중 약리작용에 따른 식이 조절과 에너지 대사 증가를 통한 작용 기전이라는 점을 규명했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한미약품은 HM15275가 심부전, 심혈관질환, 신장질환 등 비만과 관련된 다른 대사성 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까지 입증한 전임상 실험 결과도 공개했다. 이들 질환은 비만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어 GLP-1 치료제들이 계속 적응증을 확대하고 있는 분야다. 위고비는 심혈관질환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인정받은 걸 계기로 미국 공공보험에 등재됐다.

최인영 한미약품 연구개발(R&D)센터장은 “올해 ADA 발표는 ‘차세대 비만 신약’을 국제 학회에서 처음 선보이며 비만치료 분야의 선도적 입지를 공고히 했다는 점에서 남다른 의미를 갖는다”며 “연말에는 에페글레나타이드, HM15275에 이어 비(非)인크레틴 작용 기전의 신개념 비만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