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광화문에 국가상징공간…100m 태극기·꺼지지 않는 불꽃 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세훈 서울시장이 25일 오전 74주년 6·25를 맞아 시청에서 참전용사를 초청해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는 참전유공자 7명이 참석했다.

100m 높이에 태극기가 게양된 대형 조형물, 영원한 애국과 불멸을 상징하는 '꺼지지 않는 불꽃'이 서울 광화문광장에 들어섭니다.

서울시는 이 곳을 시대적 가치와 미래비전을 담은 국가상징공간으로 조성합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오늘(25일) 오전 제74주년 6·25를 맞아 인천상륙작전과 9·28 서울 수복 등에서 헌신한 참전용사 7명을 초청해 간담회를 열고 이런 내용이 담긴 광화문 국가상징공간 조성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오 시장은 "6·25 참전용사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 덕분에 오늘의 대한민국이 자유와 평화를 누릴 수 있는 것"이라며 "숭고한 뜻을 잊지 않고 기리기 위해 광화문광장에 국가상징 시설인 대형 태극기와 꺼지지 않는 불꽃을 건립해 국민 모두가 자긍심을 느낄 수 있는 국가상징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 워싱턴DC 내셔널몰의 '워싱턴 모뉴먼트', 프랑스 파리 샹젤리제 거리의 '에투알 개선문', 아일랜드 더블린 오코넬 거리의 '더블린 스파이어'처럼 역사·문화·시대적 가치를 모두 갖춘 국가상징 조형물을 만들어 광화문광장을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상징성을 고스란히 간직한 국가상징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는 구상입니다.

국가상징공간 프로젝트의 시작점인 광화문광장은 경복궁을 중심으로 전통이 살아 숨 쉬는 역사적 장소이자, 세계인이 모여드는 글로벌 문화예술 중심지입니다.

또 소통·자유·호국으로 대변되는 주체적 시민의식의 발현지로서 국가상징공간 최적지라고 시는 설명했습니다.

SBS

광화문광장 국가상징 조형물 조감도


구체적 설치 장소는 세종로공원(세종문화회관 북측) 전면부 부근입니다.

이 공간에 들어서는 첫 국가상징 조형물은 태극기가 중심이 됩니다.

태극기는 3·1운동과 서울 수복, 1987년 6월 항쟁 등 대한민국 국민과 역사를 함께하며 희로애락을 나누고, 월드컵·올림픽 등에선 국민을 단합시키는 역할을 했던 대표적 국가상징물입니다.

6·25 직후 최빈국이었으나 현재는 국제사회를 선도하는 한국의 위상과 정체성을 예술적으로 표현한 조형물에 태극기를 접목합니다.

특히 단순한 국기 게양대가 아닌 예술성과 첨단기술력이 집약된 작품으로 조성됩니다.

국가 행사 때는 먼 거리에서도 위용을 확인할 수 있는 빛기둥과 미디어 파사드(15m 내외)·미디어 플로어 등으로 연출됩니다.

김승원 서울시 균형발전본부장은 태극기가 게양된 대형 조형물의 높이를 100m로 정한 데 대해 "주변 건물 가운데 외교부 청사가 92m로 가장 높아 주변보다 높은 위치에 잘 보일 수 있도록 100m로 정했다"며 "설계 과정에서 높이는 좀 더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형 조형물 앞에는 두 번째 상징물인 꺼지지 않는 불꽃을 설치합니다.

기억과 추모를 상징하는 불을 활용해 일상에서 호국영웅을 기리고 추모하며 국가의 영속을 기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국가상징공간 부지 옆 세종로공원도 조성 30여 년 만에 '도심 속 시민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합니다.

광화문광장과 자연스럽게 연결해 일체화된 녹지공간으로 조성되며 광장 주변에 유일한 거점형 편의시설도 마련해 특색있는 콘텐츠를 선보입니다.

특히 옥상 공간을 녹지로 덮어 시민 누구나 도심 속에서 휴식과 여유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야외 숲속 레스토랑을 비롯해 지상·지하 안내센터, 시민휴게소 등 공용공간도 마련합니다.

SBS

광화문광장 내 국가상징공간과 조형물, 세종로공원은 조화와 상징성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도록 8∼11월 통합설계공모를 추진합니다.

2025년 4월까지 기본·실시 설계 후 5월 착공할 계획입니다.

국가상징공간은 2026년 2월, 세종로공원은 2026년 11월 준공 예정입니다.

예산은 세종로공원과 국가상징 조형물 조성에 각각 약 500억 원과 110억 원이 투입됩니다.

국가상징 공간, 국가상징 조형물, 세종로공원은 설계 공모 확정 때 디자인과 용도 등이 최종 확정됩니다.

오세훈 시장은 "나라 사랑의 마음이 국민 일상 속에 늘 함께할 방법이 없을지 고민을 거듭한 결과, 대한민국의 중심이자 1년에 2천만 명이 방문하는 광화문광장을 선정했다"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광화문광장에 국가상징공간을 새롭게 조성하는 만큼 서울시민뿐만 아니라 모든 국민이 사랑하고 자긍심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간담회에 참석한 최은석 대한민국 6·25참전유공자회 송파구 지회장은 "광화문 1번지라는 좋은 장소에 국가상징물을 세워주신다니 우리 참전용사 입장에서는 큰 영광"이라고 고마움을 전했습니다.

(사진=서울시 제공, 연합뉴스)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