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中, EU '관세폭탄' 막으려 獨 포섭···"고배기량 車 관세 인하 제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 상무부장이 방중한 獨 부총리에 제안해"

숄츠, 협상 필요성 강조 "도입까지 시간 남아"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의 전기차 ‘관세폭탄’에 직면한 중국이 독일을 포섭하기 위해 고배기량 차량 대상 관세 인하 등 특혜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통신은 24일(현지 시간)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EU의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고율 상계관세 계획을 막아주는 대가로 독일 대형 엔진(배기량 2.5L 이상) 차량에 대한 기존 관세를 인하하는 조건을 내걸었다고 보도했다. 현재 중국은 EU산 차량에 대해 15%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또 다른 소식통에 따르면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은 지난 주말 베이징을 방문한 로버트 하벡 독일 부총리 겸 경제기후보호부장관을 만나 이같은 제안을 내비쳤다.

중국은 EU의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최대 38.1%의 추가 관세 부과 조치를 철회시키기 위해 회원국 간 분열을 꾀하고 있다. 중국산 전기차를 대상으로한 EU의 추가 관세는 다음 달 4일부터 임시로 적용되지만 확정을 위해서는 11월 회원국 27곳의 투표를 거쳐야 한다. 독일은 EU의 최대 경제국으로 역내 영향력이 크고 앞서 EU의 관세 부과 방침에도 반대 입장을 표한 바 있다. 중국은 EU가 관세 조치를 통보하자 이에 대한 대응으로 유럽산 고배기량 차량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메르세데스-벤츠, BMW 등 주요 자동차 업체를 보유한 독일로서는 중국의 보복 조치에 따른 타격이 커질 수 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이날 베를린에서 열린 비즈니스 회의에서 중국과의 협상 필요성을 강조하며 “7월 4일부터 임시 관세가 도입되기 전까지 아직 시간이 남았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중국 측도 진지한 움직임과 진전을 보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데보라 엘름스 아시아무역센터 소장은 “EU는 (중국과의) 협상 결과가 나올 때까지 언제든 관세 부과를 연기할 수 있다”며 “양측이 합의에 충분한 진전을 이룬다면 (관세) 시계를 멈출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정혜진 기자 sunset@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