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컨소시엄도 가능해요”… 잇단 유찰에 입찰 문턱 낮추는 정비 조합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공사 선정에 난항을 겪고 있는 정비사업 조합들이 지방과 서울 외곽을 중심으로 컨소시엄 구성을 허용하고 있다. 선별 수주에 나선 건설사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조합이 시공사 입찰 요건을 완화하고 있는 것이다.

조선비즈

지난 2월 29일 오후 2시 산호아파트 재건축 시공사 선정을 위한 현장설명회에 삼성물산 건설부문, HDC현대산업개발, GS건설 등 건설사 8곳의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박지윤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4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대전 ‘가양1구역’ 재개발 조합은 지난 17일 SK에코플랜트와 HDC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을 시공사로 선정했다. SK에코플랜트와 HDC현대산업개발은 1차와 2차 입찰에 단독으로 참여하고 지난달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데 이어 최종 시공사로 확정됐다. 가양1구역 재개발은 대전 동구 가양동 176-14번지 일대에 최고 35층, 공동주택 1560가구와 부대복리시설 등을 건립하는 사업이다.

인천 재개발 최대어로 꼽히는 ‘부개5구역’ 재개발 조합은 지난 5월 현대건설·SK에코플랜트 컨소시엄을 시공사로 최종 선정했다. 당초 DL이앤씨의 단독 수주가 유력할 것으로 전해졌지만 입찰에 불참하면서 조합은 올해 초 입찰 지침을 변경해 컨소시엄을 허용했다. 인천 부평구 부개동 381-15번지는 아파트 2052가구와 부대복리시설로 재개발된다.

서울 ‘방화3구역’ 재건축 조합도 시공사 입찰 참여 요건에서 컨소시엄을 허용했다. 지난 19일 시공사 선정을 위한 현장설명회를 개최한 결과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호반건설, 진흥기업, 금호건설이 참여했고 오는 8월 5일 시공사 선정 입찰을 마감할 예정이다.

서울 ‘미아9-2구역’ 재건축 조합도 컨소시엄 입찰 참여를 허용한 결과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1차에 이어 2차에도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만 참여해 유찰됐다. 미아9-2구역 재건축 조합은 조만간 3차 입찰을 통해 최종 시공사를 선정할 방침이다.

시공사들은 정비사업을 컨소시엄 방식으로 수주할 경우 수주 경쟁을 피할 수 있어 영업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시공사가 입찰에 참여하기 위해 내야 하는 입찰보증금만 해도 수백억원이 들고, 수주 경쟁이 이뤄지면 조합원들에게 들어가는 영업비용 등이 상당한데 컨소시엄으로 수주하면 비용을 줄일 수 있다”며 “공사비 원가가 빠르게 올라가고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이자 비용이 늘어나는 상황에서는 건설사들이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는 컨소시엄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반면 조합 입장에서 컨소시엄 방식은 시공사를 빨리 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하자가 발생했을 때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단독으로 공사를 하는 것에 비해 여러 시공사가 공사를 할 경우 자재 등 품질 관리가 어렵고 불필요한 인력이나 비용이 더 들어갈 수 있어 공사비가 더 높다”면서도 “건설사들이 선별 수주에 나선 상황에서 정비사업 조합이 언제까지 손놓고 기다릴 수는 없기 때문에 컨소시엄으로라도 시공사를 찾기 위해 입찰 문턱을 낮추는 모습”이라고 했다.

박지윤 기자(jypark@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