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서울대병원 비대위원장 “환자 걱정에 휴진 중단…투쟁 계속”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73.6% ‘휴진 중단’ 20.3% ‘휴진 계속’

“정책 수립 과정 감시 비판·대안 낼 것”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대위는 투표 결과에 따라 전면 휴진을 중단한다.”

서울대 의과대학-서울대학교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21일 이같이 밝혔다.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강희경 서울의대·서울대학교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2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 기자간담회에서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서울대병원 비대위는 지난 20일과 21일 양일간 향후 활동 방향 관련해 4개 병원(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서울대 의과대학-서울대병원 전체 교수 투표를 진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 948명 중 698명(73.6%)가 휴진을 중단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답했다. 휴진을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은 192명(20.3%)이었다.

구체적인 활동 방식을 묻는 질문에 대해, 75.4%가 ‘정책 수립 과정 감시와 비판, 대안 제시가 필요하다’고 동의했다. 55.4%가 ‘범의료계와의 연대가 필요하다’고 중복으로 답했다. 이외에도 65.6%의 교수들이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고려해 지속 가능한 적정 수준으로 근무시간을 조정해야 한다고 했다.

비대위는 지난 6일, 서울의대-서울대학교병원 교수들은 의료계에 대한 존중과 올바른 의료정책 수립을 촉구하고 전공의 처분 취소와 의료 사태 해결을 위한 합리적 조치를 요구하는 전면 휴진을 결의했다. 이에 따라 17일부터 치료를 미룰 수 없는 응급, 중증, 희귀질환 등의 환자 진료는 유지하고, 기타 환자 진료와 정규 수술·시술을 중단했다. 진료 참여 교수 중 54.8%가 휴진에 참여했고, 성명서를 제출한 교수들을 포함해 90% 이상의 교수가 이번 휴진을 지지했다는 것이 비대위의 설명이다.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전면 휴진 기간에도 미룰 수 없는 중증, 난치, 응급 환자에 대한 진료는 유지해 왔으나, 서울대병원 특성상 현 상황이 장기화 되었을 때는 진료 유지 중인 중증 환자에게도 실제적인 피해가 생길 수 있다”며 “정부는 불통이지만 우리는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할 수 없었다”고 했다. 이어 “우리가 전면 휴진을 중단하는 이유는 당장 지금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피해를 그대로 둘 수 없어서”라며 “무능한 불통 정부의 설익은 정책을 받아들여서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앞으로 닥칠 의료계와 교육계의 혼란과 붕괴의 책임은 전적으로 정부에 있다고 주장했다.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저항을 계속할 것이며, 정부의 무책임한 결정으로 국민 건강권에 미치는 위협이 커진다면 다시 적극적인 행동을 결의할 것”이라며 “정책 수립 과정을 감시하고 비판과 대안의 목소리를 낼 것이다. 이를 위해 의료계 전체와도 연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