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하필 의료파업 중에···코로나 때 확 줄었다 다시 급증한 '이 질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구토, 복부 경련 등 유발 급성 위장관염 급증

한림대동탄성심병원·한림대한강성심병원 연구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크게 감소했던 바이러스성 장염이 다시 급증하고 있다. 구토, 복부 경련, 설사 등을 유발하는 급성 위장관염은 주로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한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김현수 교수·한림대한강성심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전기범 교수 연구팀은 위장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검출 추세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2013년 1월부터 2023년 4월까지 한림대의료원 5개 산하병원에서 장염 바이러스 검사를 받은 4만1239명의 검사 결과 15만7369건을 분석했다.

대상 장내바이러스는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아스트로바이러스, 사포바이러스 등 5종이다.

연구팀은 전체 기간을 코로나를 기준으로 나눴다. △팬데믹 전(2013년 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팬데믹 기간(국내 감염병 위기경보단계가 ‘심각’ 단계로 격상된 2020년 2월부터 2022년 4월까지) △팬데믹 이후(사회적 거리두기와 마스크 실외 착용 의무가 해제되고 유치원, 초중고등학교가 전면 등교하기 시작한 2022년 5월부터 2023년 4월까지)로 분류해 추세를 살핀 것이다.

분석 결과 전체 5종 바이러스의 양성(감염)률은 팬데믹 전 7.5%에서 팬데믹 기간 1.7%로 4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가 팬데믹 이후 3%로 다시 증가했다. 바이러스별 양성률은 노로바이러스가 9.9%로 가장 많았고, 로타바이러스 6.7%, 아데노바이러스 3.3%, 아스트로바이러스 1.4%, 사포바이러스 0.6% 순이었다.

연령 별로는 팬데믹 기간, 미취학 아동의 양성률이 가장 크게 감소했고, 팬데믹 이후에는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학 아동은 부모의 집중적인 보호 조치와 어린이집 및 유치원의 출석 제한 조치로 인해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 장염이 크게 감소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5종의 바이러스 가운데 로타바이러스의 양성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해, 팬데믹 기간 1.2%, 이후엔 1.3%로 나타나 증가폭이 가장 적었다. 국내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률 증가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바이러스 양성률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건 비약물적 개입이었다. BSTS 모델 분석 결과, 개인위생 강화 등의 비약물적 개입이 바이러스 감염을 91%까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약물적 개입이 이뤄지지 않으면 양성률이 200%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현수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코로나 팬데믹 기간 사회적 거리두기와 위생강화 등 비약물적 개입의 영향으로 바이러스 장염이 크게 감소했으며, 팬데믹 이후 이러한 조치들이 완화되며 바이러스 감염이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바이러스 감염 예방에 있어서 비약물적 개입의 중요성이 확인됐으며 향후 감염병 관리 가이드라인 수립에 중요한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바이러스 장염은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거나 접촉을 통해 전염될 수 있기 때문에 손씻기 등 위생 관리가 중요하며 음식은 깨끗하게 세척하고 익히거나 끓여서 먹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SCIE급 국제학술지 ‘Journal of Clinical Virology’에 최근 게재됐다.

연승 기자 yeonvic@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