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올해 美 재정적자 2600조원…GDP의 7%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 미국의 재정적자가 국내총생산(GDP)의 7%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 의회예산처(CBO)는 18일(현지시간) 발표한 '2024~2034 예산·경제 전망 업데이트'에서 올해 재정적자 규모를 1조9000억달러(약 2624조원)로 추산했다. 이는 CBO가 지난 2월에 전망한 1조5000억달러(약 2072조원)보다 27% 늘어난 수치다.

CBO는 미국의 재정적자가 2034년에는 2조8000억달러(약 3867조원)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은 2024년 7.0%를 찍고 2034년에도 6.9%를 기록할 전망이다. 필립 스웨겔 의회예산국장은 "2024~2034년 재정적자 총액인 24조달러를 경제 생산량과 비교해 측정하면 지난 50년간 역사적 평균보다 약 70% 많다"고 밝혔다.

올해 재정적자가 상향 조정된 이유에는 대학 학자금 대출 탕감 정책, 저소득층 의료보험(메디케이드) 관련 비용 증가,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의 은행 구제 비용 회수 지연 등이 꼽혔다.

또 CBO는 2025~2034년 누계 적자를 지난 2월 전망보다 2조1000억달러(10%) 상향했다. 최근 의회에서 우크라이나, 이스라엘, 인도태평양 지역을 위한 950억달러 규모 안보 지원 법안이 통과되면서다.

CBO는 미국 경제성장률이 올해 2.0%로 지난해(3.1%) 대비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이는 지난 2월(1.5%)보다 0.5%P 상향 조정된 수치다. 경제성장률은 2025년에도 2.0%로 유지되다가 2026년과 이후에는 1.8%로 낮아질 것으로 CBO는 전망했다.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대해서는 연방준비제도(Fed)가 내년 초부터 시작할 것으로 봤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